Investment
-
파인엠텍, 애플 폴더블 '내장힌지' 독점 공급권 확보
폴더블 스마트폰의 핵심 부품인 '내장힌지'를 제조하는 파인엠텍이 애플의 첫 폴더블폰 공급망에서 독점적 지위를 확보할 것으로 전망된다. 유진투자증권은 18일 파인엠텍에 대해 "이렇게 올랐는데 사도 돼요? 네"라는 제목의 리포트를 발표했다.2026년 하반기 출시 예정인 애플의 첫 폴더블 스마트폰을 앞두고 공급망 선정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다. 파인엠텍이 제조하는 '내장힌지'는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접고 펼 때 핵심 역할을 하는 백플레이트로, 현재 중국 경쟁사 1곳과 경쟁하고 있지만 파인엠텍이 최소 과반의 점유율을 확보할 것으로 예상된다.파인엠텍의 경쟁 우위는 두 가지다. 먼저 기존 화학 에칭 공법에서 레이저 에칭으로 전환
-
대양전기공업, 자동차 센서 사업으로 '질주'...2분기 영업익 107% 급증 전망
대양전기공업이 자동차 센서 사업의 폭발적 성장에 힘입어 2분기에도 '올 그린'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IBK투자증권은 18일 대양전기공업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3만3000원을 유지한다고 발표했다.IBK투자증권은 대양전기공업의 2분기 실적을 매출액 582억원(전년 동기 대비 16.6% 증가), 영업이익 63억원(107% 증가)으로 전망한다고 밝혔다. 이 같은 성장은 주로 자동차 센서 사업부와 방산 사업부의 성장세에 기인할 것으로 분석된다.조선 사업부는 1분기와 비슷한 흐름을 이어가며 매출 확대보다는 수익성 개선에 집중하고 있다. 대양전기공업은 기존 선박용 조명 사업을 주력으로 성장해왔지만, 센서 사업부의 급성장으
-
[17일 마감]SK하이닉스 8.9% 급락에도 삼성전자 3.1% 상승
17일 국내 증시에서 반도체 양대 산맥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극명한 대조를 보였다. 삼성전자는 3.1% 상승한 반면 SK하이닉스는 8.9% 급락하며 HBM(고대역폭메모리) 관련 페어트레이딩이 본격화된 모습을 보였다.이날 주가 흐름의 핵심은 골드만삭스의 HBM 관련 리포트였다. 최근 내년도 HBM 과잉공급 우려가 제기되는 가운데, 골드만삭스는 내년 HBM 가격 하락을 전망하며 삼성전자 Long, SK하이닉스 Short 포지션을 제시했다.강진혁 신한투자증권 선임연구원은 "외국인 수급과 주가도 엇갈렸다"며 "최근 내년도 HBM 과잉공급 노이즈가 나오며 마이크론과 SK하이닉스가 약세였는데, 골드만삭스에서 내년 HBM 가격 하락을 전망하며 삼성전자
-
HBM4 가격 프리미엄 축소에도 SK하이닉스 매수 유지..."AI 리더십 변함없어"
대신증권이 17일 발표한 반도체업 분석 보고서에서 HBM4 가격 프리미엄 축소 우려에도 불구하고 SK하이닉스에 대한 투자의견을 바꿀 시점이 아니라고 판단한다고 밝혔다.류형근 대신증권 애널리스트는 "HBM4 가격 프리미엄 축소 가능성을 반영해 2026년 HBM ASP 전망을 하향 조정했지만, AI 시장의 리더인 SK하이닉스에 대한 투자의견을 Hold로 변경할 시점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대신증권은 HBM4 가격 프리미엄 축소 영향을 반영해 2026년 HBM ASP 전망을 기존 2025년 대비 7% 성장에서 6% 하락으로 하향 조정했다. 하지만 물량 성장 모멘텀은 여전히 견고하다고 분석했다.류 애널리스트는 "HBM4 수급은 여전히 타이트하고, HBM3e에서는 기존
-
한국 종목 글로벌 하위권 집중..."제조업 하향·금융 상향" 뚜렷
한국 주요 종목들이 글로벌 신흥국 지수에서 하위권에 집중되면서 실적 부진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금융 섹터는 상향 조정되며 업종 간 명암이 뚜렷하게 갈리고 있다.한화투자증권이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신흥국 지수 구성종목 중 FY1 EPS 변화율 하위 30개 종목에 기아, 현대모비스, 삼성전자, HMM, 현대차, 네이버, KB금융, 신한지주 등 한국 종목이 대거 포진했다. 반면 상위 30개 종목에는 한국 기업이 단 한 곳도 없었다.국가별 섹터 EPS는 전체적으로 상향 조정됐지만 한국은 업종별로 엇갈린 모습을 보였다. 헬스케어가 6.9% 대폭 상향되며 가장 큰 폭의 개선을 기록했고, 산업재(3.27%), 소재(2.33%),
-
VIP자산운용, 롯데렌탈에 "3자배정 유증 부당" 개정상법 명시한 주주서한 발송
VIP자산운용이 롯데렌탈 이사회에 개정상법에 명시된 주주서한을 발송하며 어피니티에쿼티파트너스 대상 3자배정 유상증자의 부당성을 제기했다고 17일 밝혀졌다. 이는 개정상법 시행 이후 국내 행동주의 펀드가 새로운 법적 근거를 활용한 첫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VIP자산운용이 문제로 제기한 것은 롯데렌탈이 지난 2월 28일 공시한 어피니티에쿼티파트너스 대상 3자배정 유상증자다. 이번 유상증자 규모는 기존 발행주식수의 20% 수준으로, 완료될 경우 어피니티와 롯데렌탈이 확보할 지분은 67.7%에 달한다.핵심 쟁점은 지분 인수 가격의 현격한 괴리다. 어피니티가 호텔롯데로부터 롯데렌탈 지분 56.2%를 인수할 때 책정한 주당 가격은 77
-
엔씨소프트, '아이온2' 기대감에 목표가 25만원 상향... "쉴 틈 없는 하반기"
엔씨소프트(036570)가 '아이온2'를 필두로 한 하반기 신작 출시 기대감과 비용 효율화 효과에 힘입어 투자 매력이 부각되고 있다. SK증권은 17일 엔씨소프트에 대해 목표주가를 기존 23만원에서 25만원으로 상향 조정하며 '매수' 의견을 유지한다고 발표했다.엔씨소프트의 2분기 실적은 매출액 3,340억원(전년 동기 대비 -9.4%, 전분기 대비 -7.3%), 영업이익 42억원(전년 동기 대비 -53.1%, 전분기 대비 -20.5%), 지배주주순이익 150억원(전년 동기 대비 -78.8%, 전분기 대비 -60.2%)으로 추정된다.영업이익은 컨센서스 60억원을 하회할 전망이지만, 모바일 게임 매출 하향세가 안정화되고 있는 점이 긍정적이다. 리니지M은 6월 18일 업데이트 이
-
오리온, 원가 압박 속에서도 "주가는 싸다"... 러시아 64% 급성장 견인
과자업계 대표주 오리온(271560)이 코코아·쇼트닝 등 주요 원재료 가격 상승 압박에도 불구하고 견조한 실적을 기록하며, 증권가에서는 현재 주가 수준을 여전히 저평가로 판단한다는 분석이 나왔다.대신증권과 IBK투자증권은 17일 발표한 리포트에서 오리온에 대해 각각 'BUY(매수)' 투자의견을 유지하며 목표주가를 각각 15만원과 14만5,000원을 제시했다.오리온의 2분기 실적(4~6월 국가별 단순 합산 기준)은 매출액 7,791억원(전년 동기 대비 8%), 영업이익 1,245억원(전년 동기 대비 0% 수준)을 기록했다. 영업이익률은 16.0%를 유지했다.국가별로 살펴보면, 한국은 매출액 2,913억원(5% 증가), 영업이익 480억원(3% 증가)으로 내수 소비 부
-
선진, "한 해 영업으로 시총 절반 회수" 초저평가 해소 국면
하림그룹 돈육사업 담당 선진(136490)이 그동안 주가 상승을 가로막았던 영업외 손실 요인이 해소되면서 본격적인 저평가 해소 국면에 진입했다는 분석이 나왔다.유진투자증권은 17일 선진에 대해 신규 투자의견 'NR(Not Rated)'을 제시하며 "영업이익의 규모가 시가총액에 반영되기 시작하는 국면"이라고 평가했다.선진의 2025년 예상 실적은 매출액 1조 7,880억원, 영업이익 1,595억원으로 각각 전년 대비 6.3%, 28.6% 성장이 전망된다. 특히 당기순이익은 158억원에서 1,580억원으로 무려 2,278.7%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시가총액이 3,094억원인 점을 고려하면 한 해 당기순이익만으로 시총의 절반을 회수할 수 있는 수준이다. 2025년
-
메리츠화재 전 임원들, 합병정보 악용 수억 벌었다
금융당국이 자사 합병정보를 이용해 수억원의 시세차익을 얻은 혐의를 받는 메리츠화재 전 임원들을 검찰에 고발하기로 했다고 17일 발표했다.금융위원회 산하 증권선물위원회(증선위)는 전날 정례회의에서 메리츠화재 전 사장 A씨와 임원 B씨를 자본시장법상 미공개정보 이용행위 금지 위반 혐의로 검찰에 고발·통보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이들은 메리츠금융지주의 합병 계획 발표를 앞두고 주식을 대규모로 사들였다가 주가가 급등하자 팔아 상당한 시세차익을 본 것으로 조사됐다. 메리츠금융지주는 2022년 11월 메리츠증권, 메리츠화재를 완전 자회사로 편입한다는 방침과 함께 주주환원 계획을 발표했고, 발표 다음날 3개 종목은 모두 상
-
우리금융 임종룡 회장, 연임 도전할까?
새 정부 들어 5대 금융지주 회장들의 임기 연장 여부가 핫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내년 3월 임기가 만료되는 신한금융지주 진옥동 회장과 우리금융지주 임종룡 회장의 거취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같은 시기에 임기가 끝나지만 두 회장을 바라보는 금융권 시간은 사뭇 다르다. 진옥동 신한금융 회장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위치에 있다는 평가다. 신한금융은 민간 금융지주로서 정치적 변화에 비교적 자유로운 구조를 갖추고 있다. 더욱이 진 회장은 지난해 말 대규모 인사쇄신을 통해 조직에 대한 혁신 의지를 보였다.반면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의 경우 변수가 많다. 과거 경제관료 출신으로 보수 정권에서 주요 직책을 맡았던 배경이 정치
-
솔브레인, 2026년 '풍부한 모멘텀' 기대로 목표가 25만원 상향
반도체 소재 전문기업 솔브레인이 일본 업체 인수 효과와 메모리 반도체 업황 회복에 힘입어 2026년부터 본격적인 성장 모멘텀을 확보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SK증권은 17일 솔브레인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며 목표주가를 기존 24만원에서 25만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이동주 SK증권 연구원은 "2분기 매출액이 2,589억원(전분기 대비 24%, 전년동기 대비 20% 증가), 영업이익 403억원(전분기 대비 12% 증가, 전년동기 대비 12% 감소)을 기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지난 3월 인수한 일본 업체 Sun Fluoro System의 실적이 2분기부터 연결 편입되면서 외형 성장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해당 업체는 케미칼 이송에 필요한
-
기업은행, 2분기 실적 호조, 연간 실적 전망치 상향..."현금배당 매력 부각"
키움증권이 기업은행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며 목표주가를 기존 2만3,000원에서 2만6,000원으로 13% 상향 조정했다고 17일 발표했다. 배당소득 분리과세 등 세제 변화 시 현금배당의 매력이 크게 부각될 것이라는 판단이다.김은갑 키움증권 연구원은 "2025년 2분기 연결순이익이 6,584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8.3% 증가할 전망"이라며 "환율하락에 따른 외화환산이익 증가폭을 확대 반영해 전망치를 2.3% 상향조정했다"고 밝혔다. 2025년 연결순이익은 2조8,200억원으로 0.4% 상향조정되어 2024년 대비 5.9%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안정적인 이익증가세가 지속되면서 기업은행의 펀더멘털이 꾸준히 개선되고 있다는 평가다.기업은행의
-
미국 증시 사상 최고치 경신, 단기 조정 신호는 '변동성'뿐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상승 랠리를 이어가고 있는 미국 증시에서 당장 경계해야 할 요소는 변동성 지표에 국한된다는 분석이 나왔다. 거시경제 지표가 뚜렷한 방향성을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기술적 분석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신한투자증권은 17일 발표한 글로벌 주식전략 보고서에서 "현재 미국 증시에서 단기적으로 경계해야 할 요소는 변동성에 국한된 수준"이라며 "추세적인 조정 시그널은 부재하기 때문에 시장에서 이탈할 필요는 없다"고 분석했다.보고서는 4가지 기술적 지표를 통해 조정 가능성을 점검했다. 먼저 주도주의 추세는 여전히 견고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최근 3개월간 시장을 이끈 엔비디아, 메타, 오라클 등의 주
-
현대차, 2분기 실적 컨센서스 부합 전망... 하반기 3대 호재 주목
현대차가 2분기 실적에서 선수요 효과와 지역 믹스 개선으로 양호한 성과를 거둘 것으로 전망된다는 분석이 나왔다. 교보증권은 16일 현대차에 대해 투자의견 'BUY'와 목표주가 27만원을 유지한다고 발표했다.교보증권은 현대차의 2분기 매출액을 46조9천억원(전년동기대비 4.1% 증가), 영업이익을 3조4천억원(전년동기대비 20.1% 감소, 영업이익률 7.3%)으로 전망한다고 밝혔다. 이는 컨센서스(Fnguide 매출액 46조4천억원, 영업이익 3조5천억원) 수준에 부합하는 수치다.관세 영향에도 불구하고 선수요가 반영된 볼륨 증가와 인센티브 하락 효과로 양호한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국내 판매량은 18.9만대(전년동기대비 1.5% 증가,
-
[16일 마감]KOSPI 연고점 경신 후 차익실현 매물에 0.9% 하락
연고점을 경신하며 상승세를 이어가던 국내 주식시장이 차익실현 매물에 하락 마감했다. 16일 KOSPI는 전일 대비 28.90포인트(0.9%) 하락한 3,186.38로, KOSDAQ은 0.65포인트(0.08%) 소폭 내린 812.23으로 거래를 마쳤다.미국 6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예상치에 부합했지만 관세 인플레이션 우려가 재부상했다. CPI 자체는 시장 예상치를 충족했으나, 식료품과 에너지 등 비내구재 물가 상승과 관세 노출 품목 중 의류 등의 물가 상승을 확인하며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 우려가 재개됐다. 이에 따라 미국 10년물 국채금리는 4.5%, 30년물은 5%에 육박하며 주식시장에 하방 압력을 가했다.7월 들어 단 3거래일을 제외하고 지속 상승하며 연고점
-
여당, 자사주 3년내 강제 소각 법안 발의..."기업 지배구조 대수술"
더불어민주당이 자사주 악용을 막기 위한 강력한 규제 법안을 내놨다. 김현정 의원은 16일 자기 주식(자사주) 소각을 의무화하고 예외적 보유 시 공시를 강화하는 내용의 상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고 밝혔다.현행 상법의 허점을 지적하며 개정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 의원은 "현행 상법이 자사주 취득을 원칙적으로 허용하면서도 반드시 소각하도록 하는 규정이 없어 본래 취지와 달리 자사주가 대주주 지배력 강화, 경영권 방어 수단으로 악용되는 문제가 계속 제기됐다"고 지적했다.개정안의 핵심은 3년 이내 의무 소각 조항이다. 회사가 자사주를 취득하면 원칙적으로 3년 이내에 이사회 결의를 통해 소각하도록 의무화하는 내용을 담았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