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vestment
-
코리아에프티, HEV 열풍 타고 '1조 클럽' 진입 초읽기
하이브리드 자동차 시대의 최대 수혜주가 등장했다. 코리아에프티(123410)가 현대차그룹의 HEV(하이브리드) 확장과 함께 폭발적 성장을 이어가며 매출 1조원 클럽 진입을 눈앞에 두고 있다. 교보증권이 5일 발표한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동사는 'HEV 시대의 핵심 수혜주'로 평가받으며 현재 주가 수준에서 상당한 저평가 상태에 있다는 분석이다. 코리아에프티의 핵심 제품인 카본 캐니스터는 연료 증발가스를 포집한 후 엔진에서 태워 외부 유출을 방지하는 친환경 부품이다. 순수 전기차를 제외한 모든 파워트레인에 필수적으로 장착되는 이 부품은 특히 HEV에서 그 중요성이 더욱 커진다. HEV는 비주기적 엔진 구동으로 인해 ICE(내연기관) 대
-
현대차·기아, 미국 '점유율 12.3%' 돌파... 시장 성장률 3배 넘는 질주
현대차그룹이 미국 자동차 시장에서 승승장구하고 있다. 하나증권이 5일 발표한 '미국 자동차 판매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현대차와 기아의 8월 미국 소매판매가 전년 동월 대비 11% 증가하며 시장 성장률 3%를 크게 웃돌았다. 이는 양사가 미국 시장에서 지속적으로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다.8월 현대차의 미국 소매판매는 9만6천대로 전년 동월 대비 11% 증가했으며, 시장점유율은 6.6%로 0.5%포인트 상승했다. 기아 역시 8만3천대를 판매해 10% 성장률을 기록하며 시장점유율 5.7%를 달성했다. 양사 합산으로는 17만9천대를 판매해 시장점유율 12.3%를 기록했다. 전년 동월 대비 0.9%포인트 상승한 수치다.영업일수를
-
폰드그룹, K-뷰티 수출로 '제2의 도약' 꿈꾼다
글로벌 소비재 브랜드 라이선스 사업자 폰드그룹(472850)이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아 나섰다. 기존 패션 중심 사업에서 벗어나 화장품 수출 사업으로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며 글로벌 진출에 속도를 내고 있다.폰드그룹은 그동안 아디다스, 푸마, 캘빈클라인, DKNY, 라코스테, 코닥 등 글로벌 브랜드의 국내 라이선스 사업을 주력으로 해왔다. 특히 홈쇼핑 채널에서 강세를 보이며 성장해온 이 회사는 2024년 매출 3,687억원, 영업이익 413억원을 기록하며 안정적인 실적을 보여줬다.하지만 변화하는 시장 환경에 발맞춰 새로운 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국내 홈쇼핑 채널의 부진과 신생 스트릿 브랜드와의 경쟁 심화로 자체 브랜드 육성과 수출 강
-
[간밤의 美친주식] American Eagle, 시드니 스위니 광고 효과로 급등
1. American Eagle Outfitters = 시드니스위니 광고 효과로 25% 급등2분기 실적 발표와 함께 주가가 시간외 거래에서 25% 급등하며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주가 상승의 핵심동력은 인기 배우 시드니 스위니(Sydney Sweeney)를 모델로 한 논란의 광고 캠페인이었다. 회사는 2분기 총 매출이 12억 8천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주당순이익에서는 애널리스트 예상치를 상회하는 성과를 기록했다. 특히시드니 스위니 캠페인과 NFL 스타 트래비스 켈시와의 협업이 핵심 성장 동력으로 작용했다고 평가했다. 시드니 스위니 캠페인은 론칭과 동시에 소셜미디어에서 큰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광고에서금발 머리,
-
[4일 마감]코스피 3,200선 회복, 외국인 3일째 순매수에 반등 마감
코스피가 사흘 만에 3,200포인트를 회복하며 강세 마감했다. 4일 코스피는 전일 대비 16.75포인트(0.52%) 오른 3,200.83에 거래를 마쳤고, 코스닥은 8.62포인트(1.08%) 상승한 805.42로 장을 마감했다.미국 증시에서 알파벳이 9.1% 급등하고 애플이 3.8% 오르는 등 기술주 강세가 이어진 가운데, 연방준비제도(Fed)의 9월 금리 인하 가능성이 97.6%에 달하면서 투자 심리가 크게 개선된 것으로 분석된다.특히 외국인 투자자들이 3일째 연속 순매수를 이어가며 코스피 2,034억원, 코스닥 869억원을 사들인 것이 상승을 견인했다. 반면 개인투자자는 코스피에서 2,848억원, 코스닥에서 1,059억원을 순매도했다.업종별로는 전일 큰 폭 하락했던 반도
-
"소부장 뛰어!"...4년 만에 돌아온 투자 사이클
반도체 투자 사이클이 4년 주기로 돌아오면서 2025년이 새로운 상승 국면의 원년이 될 전망이다. 2017년 클라우드 컴퓨팅, 2021년 팬데믹 후 공급 부족에 이어 2025년에는 AI 학습 및 추론 시장 성장이 메모리 투자를 견인하고 있다. 전세계 DRAM 투자는 54% 증가하고 NAND 투자도 14%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미국 내 파운드리 투자도 공격적으로 진행된다. 삼성전자는 테일러 팹에 400억달러 이상, TSMC는 애리조나 팹에 추가 1,000억달러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 최근 미국의 VEU 자격 철회 조치로 중국 팹 운영 불확실성이 생기면서 오히려 국내 투자로의 유턴 가능성도 열렸다.WFE 투자는 2024년을 저점으로 2025년 7%, 2026년 11% 성장이 전
-
이노와이어리스, 4분기 역대급 실적 기대..."지금이 싸게 살 수 있는 적기"
통신장비업체 이노와이어리스가 상반기 부진한 실적에도 불구하고 4분기 대규모 반등을 앞두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하나증권은 4일 발간한 이노와이어리스 분석 리포트에서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4만원을 유지한다고 밝혔다. 3분기까지 부진한 실적이 지속될 전망이지만 밸류에이션상 저평가 상태이며, 4분기부터 본격적인 실적 회복이 예상되기 때문이다.이노와이어리스는 올해 1분기에 이어 2분기에도 적자를 지속했다. 주력인 일본과 스몰셀 매출이 부진했던 것이 주요 원인이었다. 2분기 매출액은 44억9천만원으로 전분기 대비 18% 증가했지만, 영업손실은 1억6천만원을 기록했다. 하나증권 김홍식 애널리스트는 "특별한 문제가 없었
-
"4년 만에 투자 사이클 도래"…원익IPS, 목표가 5만5천원
반도체 장비업계의 대표주자 원익IPS가 새로운 성장 궤도에 진입하고 있다. SK증권은 4일 발간한 원익IPS 분석 리포트에서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기존 5만원에서 5만5천원으로 10% 상향 조정했다. 삼성전자의 테일러팹과 P4 라인 투자가 본격화되면서 원익IPS의 실적 개선 가시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원익IPS의 올해 2분기 실적은 시장 기대를 뛰어넘었다. 2분기 매출액은 242억원을 기록해 전분기 대비 95% 급증했으며, 영업이익도 36억원 흑자를 달성했다. 1분기 7억원 적자에서 강력한 턴어라운드를 보인 것이다. 특히 반도체 부문 매출 비중이 1분기 76%에서 90%까지 상승하며 수익성이 크게 개선됐다. 삼성전자 전환 투자
-
"찬바람 불면 실적·주가 우상향"…오상헬스케어, 콤보키트로 재도약 예고
오상헬스케어가 글로벌 의료진단 시장에서 다시 한번 주목받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실적 부진에 시달렸던 오상헬스케어가 콤보키트(코로나19와 독감 A&B 동시 진단 키트) 중심의 안정적 매출 기반을 확보하며 본격적인 회복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신한투자증권은 4일 발간한 오상헬스케어 분석 리포트에서 "올해 상반기 실적 개선의 지속 가능성과 확장성이 뚜렷하다"며 "2025년 1월 콤보키트의 FDA 승인으로 실적 안정성을 확보했고, Allez Health 전략적 투자를 통해 CGM(연속혈당측정기) 시장 진출을 준비하는 등 주가 재평가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오상헬스케어의 올해 상반기 실적은 시장 기대를 뛰어넘었다. 연결기준
-
[간밤의 美친주식] Alphabet, 유리한 반독점 판결에 사상 최고가 경신
1. Alphabet = 유리한 반독점 판결이후 사상 최고가 경신구글의 모회사로 미국 연방법원으로부터 예상보다 훨씬 유리한 반독점 판결을 받은 직후 주식시장에서 폭발적인 상승세를 보이며 사상 최고가를경신했다. 아미트 메타(Amit Mehta) 연방지방법원 판사는 구글이 검색 엔진 시장에서 불법적인독점을 유지했다는 이전 판결에도 불구하고, 미 법무부가 요구했던 크롬(Chrome) 브라우저 매각 명령을 거부했다. 대신 법원은 구글이 기기 제조업체들과 맺는 독점 계약을금지하고, 검색 인덱스 데이터를 경쟁업체와 공유하도록 명령하는 선에서 마무리했다. 이 판결 직후 알파벳 주가는 장외거래에서 6% 상승했으며, 9월 3일 정규장에서는 9.14
-
[3일 마감]악재 속에서도 선방한 한국 증시, 0.4% 상승 마감
3일 국내 주식시장이 대내외 불안 요인에도 불구하고 소폭 상승하며 장을 마감했다. KOSPI는 전 거래일 대비 0.38% 오른 3,184.42로, KOSDAQ은 0.35% 상승한 796.81로 각각 마감했다.미국 시장은 노동절 휴장을 지나 9월 첫 거래일을 맞았지만, 유럽의 정치·재정 불안과 관세 위법 논란, 연준 중립성 우려 등 복합적 악재가 반영됐다. 특히 장기금리가 4.3%에 근접하면서 금리 부담이 가중되고 위험자산에 대한 선호심리가 후퇴한 상황이다.아시아 주요 증시들이 일제히 부진한 모습을 보인 가운데 한국 증시의 선방이 돋보였다. 일본 닛케이225지수는 0.9%,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1.5%, 홍콩 항셍중국기업지수는 0.8% 각각 하락했지만, 한국은
-
동성화인텍, LNG 호황 속 '황금알 낳는 거위'로 부상
동성화인텍(033500)이 글로벌 LNG(액화천연가스) 운송선 수요 급증과 함께 새로운 성장 국면을 맞고 있다. 특히 중국 조선사향 보냉재 수주 확대 가능성과 주요 원재료 가격 안정화로 향후 2-3년간 가파른 실적 개선이 예상된다는 분석이 나왔다. SK증권은 3일 동성화인텍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43,000원으로 커버리지를 재개한다고 발표했다. 동성화인텍의 올해 하반기 전망이 특히 밝다. 과거 상대적으로 수익성이 낮았던 2021~2022년 수주 물량 소화가 대부분 완료되면서, 하반기부터는 상대적으로 높은 계약 단가의 2022년 수주분과 2023년 수주분 납품이 본격화될 예정이다.회사는 2025년 매출액 7,493억원(전년 대비 25.4% 증
-
온라인 커머스, 7월 역대 최고 성장률 회복
국내 온라인 커머스 시장이 본격적인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하나증권은 3일 발표한 인터넷 산업분석 보고서에서 7월 전체 온라인 커머스 거래액이 23.0조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월 대비 7.3% 성장했다고 밝혔다. 이는 작년 7월 티메프 사태 이후 처음으로 7% 성장률을 회복한 것으로, 역대 최대치를 달성했다.7월 성장을 이끈 주축은 모바일 커머스였다. 모바일 거래액은 18조1천억원으로 전년 대비 10% 성장한 반면, 인터넷 거래액은 4조9천억원으로 1.5% 감소했다. 이는 소비자들의 쇼핑 패턴이 모바일로 급속히 전환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다.품목별로는 음식료품(12.6%), 농축수산물(16.8%), 음식서비스(11.0%) 등이 두 자릿수 성장
-
삼성전기, AI 서버 특수로 목표가 24만원 상향
삼성전기가 AI 서버 시장의 폭발적 성장과 함께 새로운 전환점을 맞고 있다. 하나증권은 3일 삼성전기에 대해 투자의견 'BUY'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기존 17만 4천원에서 24만원으로 대폭 상향 조정했다.목표주가 상향의 핵심 배경은 견고해지는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업황이다. AI 서버의 전력 소모량이 일반 서버 대비 10배 이상 높아지면서 전류 공급 안정화를 위한 고용량·고전압 MLCC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산업용 및 전장용 MLCC는 IT용 대비 사이즈가 크고 유전체 적층수가 높아 생산 캐파 손실이 발생해 공급 확대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된다.현재 삼성전기를 포함한 주요 MLCC 업체들의 하반기 가동률은 90%대에 진
-
[기획]퇴직연금시장의 'Fast-Follower'...③우리은행, 차별화된 고객관리로 도전
우리은행이 퇴직연금 시장에서 새로운 변곡점을 만들어가고 있다. 2025년 상반기 기준 공시 적립금 28조4천억원으로 시중은행 중 4위에 머물러 있지만, 차별화된 전략으로 시장 내 입지 강화에 나섰다.우리은행은 주요 시중은행 중 유일하게 비대면 개인형퇴직연금(IRP) 수수료를 전액 면제하고 있다. 2021년 10월부터 시행한 이 정책은 개인부담금과 퇴직금 구분 없이 적용된다. 또한 은행업권 최다 수준의 펀드와 상장지수펀드(ETF) 상품 라인업을 보유하고 있어 고객 선택권을 크게 확대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차별화되고 촘촘한 연금고객관리로 고객의 퇴직연금자산 수익률을 높이고 평생 고객화하는 것을 최우선으로 하고 있다"며 "연금시
-
[간밤의 美친주식] United Therapeutics, 폐질환 치료제 임상성공에 급등
1. Cytokinetics = 신약 임상 성과로37% 급등바이오제약 회사로 신약 개발 진전과 긍정적인 임상 시험 결과로 전일 대비 37% 급등하며 49.65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주가 급등의 주요 촉매는 유럽심장학회(ESC) 2025에서 발표된 MAPLE-HCM 임상시험의 긍정적 결과였다. 이 임상시험은 사이토키네틱스의심장근육 억제제인 아피카멘(aficamten)과 기존 표준 치료제인 메토프롤올을 비교한 3상 임상시험이다. 아피카멘이 폐색성 비대성 심근증 환자들의 심장 기능과 증상 개선에 있어 표준 치료제인 메토프롤올보다 우수한 효과를보였다고 회사는 발표했다. MAPLE-HCM 시험에는 175명의환자가 참여했으며, 1:1 비율로 아피카멘과 메토프롤올 단
-
[2일 마감]외국인 6거래일 만에 순매수...코스피 0.94% 상승 마감
2일 국내 증시는 외국인 매수세가 재개되며 상승 마감했다.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29.75포인트(0.94%) 오른 3,172.35로, 코스닥은 9.05포인트(1.15%) 상승한 794.00으로 장을 마쳤다.미국 증시가 노동절 휴장으로 쉬고 주요 거시경제 지표 발표도 없어 뚜렷한 상하방 요인이 제한된 가운데서도, 외국인 자금이 6거래일 만에 순매수로 전환하며 지수 하단을 확실히 지지하는 모습을 보였다.외국인은 이날 코스피 현물에서 3,908억원을 순매수했고, 코스닥에서도 798억원을 사들였다. 특히 전일 알리바바發 AI 우려로 급락했던 반도체 대형주들에 저가매수세가 몰렸다. 삼성전자가 2.2%, SK하이닉스가 1.8% 상승하며 반등을 주도했다.신한투자증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