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차례에 걸친 대규모 주식 매각
롯데지주는 17일 공시를 통해 신 의장이 지난 10일, 14일, 16일 사흘에 걸쳐 시간외거래로 롯데지주 주식 211만2천주를 모두 처분했다고 발표했다. 매각 규모는 670억원에 달한다. 같은 날 신 의장은 롯데쇼핑 주식 7만7천654주도 58억원 규모로 매각했다.
이번 매각으로 최대주주인 신동빈 롯데 회장과 특별관계인이 보유한 롯데지주 지분은 45.44%에서 43.43%로 2.01%포인트 하락했다. 롯데쇼핑의 경우에도 신 회장 측 지분이 60.39%에서 60.12%로 0.27%포인트 줄어들었다.
연부연납 제도로 5년간 분할 납부
2020년 1월 신격호 명예회장 사망 후 상속인들은 연부연납 제도를 활용해 상속세를 5년간 분할 납부하고 있다. 신영자 의장 역시 이 제도를 활용해 상속세 납부를 위한 자금을 단계적으로 마련해왔다.
상속세 연부연납 제도는 개인별 상속세액이 2000만원을 초과할 경우 5년 범위 내에서 분할 납부가 가능한 제도다. 특히 대규모 기업 지분을 상속받은 경우 일시 납부가 어려워 이 제도를 활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지속적인 지분 정리 작업
이번 매각으로 신 의장은 롯데지주와 롯데쇼핑 주식을 한 주도 보유하지 않게 됐다. 다만 올해 1분기 기준으로 롯데웰푸드 주식 14만939주(1.49%)와 롯데칠성음료 주식 24만7천73주(2.66%)는 여전히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업 상속세 납부의 전형적 사례
롯데재단 측은 "상속세 마련을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지만, 이는 동시에 롯데그룹 지배구조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신동빈 회장의 지분율 하락으로 향후 경영권 안정성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재단 운영과 사회공헌 활동
신영자 의장은 현재 롯데재단 의장직을 맡고 있으며, 과거 롯데장학재단, 롯데삼동복지재단, 롯데복지재단 이사장을 역임했다. 2018년 재판을 받으면서 이사장직에서 사임했지만, 현재는 그의 딸인 장혜선 씨가 롯데장학재단과 롯데삼동복지재단 이사장을 맡아 가족의 사회공헌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신격호 명예회장이 2020년 1월 별세한 지 5년이 되어가는 시점에서, 상속세 납부를 위한 자산 정리가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 이 과정에서 롯데그룹의 지배구조는 물론 재벌 상속세 납부 방식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 계속되고 있다.
[글로벌에픽 안재후 CP / anjaehoo@naver.com]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