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좀은 발뿐만 아니라 손발톱, 사타구니, 머리, 손 등 신체 여러 부위에서도 발병할 수 있다.
발을 긁은 후 머리를 만지는 습관이 있다면 머리 무좀이 생길 위험이 있으며, 이는 탈모까지 유발할 수 있다. 또한 개인의 무좀이 가족 모두에게 전염될 가능성도 있다.
무좀을 방치하면 온몸으로 퍼져 버짐, 손발톱무좀, 완선 등의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여름철에 특히 기승을 부리는 무좀에 대해 주의가 필요하다.

무좀은 주로 발에 발생한다. 특히 4번째와 5번째 발가락 사이에서 빈도가 높다.
이 부위는 해부학적으로 발가락 간격 중 가장 넓어 땀이 정체되기 쉽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발에 무좀이 있는 사람들은 해마다 같은 부위에 재발한다고 생각하기 쉽다.
주요 증상으로는 해당 부위의 가려움증과 피부가 희게 짓무르게 되는 현상이 있다.
◇ 무좀 치료 기간은? 발톱 무좀은 더 오래걸려
많은 사람들이 손발톱 무좀이 치료하기 어렵고 잘 낫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것은 잘못된 인식이다. 피부과 전문의의 정확한 진단과 올바른 치료를 받으면 손발톱 무좀은 완치될 수 있다.
무좀 치료는 항진균제를 연고 형태로 해당 부위에 바르거나 경구 복용을 통해 이루어진다.
증세가 심하지 않으면 항진균제를 하루 2회 해당 부위에 바르면 된다. 무좀 부위가 소실된 후에도 2~3주간 더 바르는 것이 좋다.
만약 이렇게 해도 상태가 호전되지 않으면 경구 항진균제를 4~6주간 복용해야 한다. 치료 도중에 증상이 조금 나아졌다고 해서 환자가 개인 판단으로 치료를 중단하거나 포기하면 재발할 수 있다.
◇ 예방이 최선! 여름철 감염 쉬워 주의 필요
무좀은 치료만큼 예방도 중요하다. 발 무좀은 치료 후에도 양말이나 신발 등에 남아 있던 피부사상균에 의해 재발하는 경우가 많다. 손발톱 무좀도 재감염이 쉽게 발생한다.
발 무좀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발을 하루에 한 번 이상 깨끗하게 씻고, 땀을 많이 흘리는 경우 더 자주 씻는 것이 좋다. 발을 씻은 후에는 통풍을 잘 시켜 발가락 사이까지 잘 말리고 건조하게 유지해야 한다. 땀이 많은 경우 흡수가 잘되는 면양말이나 발가락 양말을 신는 것이 좋다.
꽉 끼는 신발보다는 발가락이 드러나는 샌들이나 통풍이 잘되는 신발이 좋다. 습한 날씨에는 항곰팡이 스프레이를 발에 뿌리면 더욱 좋다. 비 오는 날 젖은 신발은 반드시 바짝 말린 뒤 신어야 한다.
무좀은 전염성이 강하므로 슬리퍼, 발수건 등을 공동으로 사용하는 것은 피해야 한다. 대중목욕탕이나 수영장에 다녀왔다면 집에서 손발을 다시 씻는 것이 좋다.
오하은 에디터 / 글로벌에픽 에픽라이프팀 epic@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