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vestment
-
[14일 시황]사상 최고치 경신한 코스피, 혼조세 마감
14일 국내 증시는 AI 관련 호재와 삼성전자의 깜짝 실적에 힘입어 장중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으나, 미중 갈등 재부각으로 상승분을 반납하며 혼조세로 마감했다.이날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0.63% 하락한 3,561.81로, 코스닥은 1.46% 내린 847.96으로 장을 마감했다. 코스피는 장중 3,600포인트에 근접하며 사상 최고가를 달성했으나 오후 들어 낙폭을 키웠다. 전날 밤 미중 정상회담에 대한 낙관론과 함께 AI 관련 대규모 계약 소식이 시장 심리를 끌어올렸다. 블룸에너지는 브룩필드운용과 50억 달러 규모의 파트너십을 체결하며 26.5% 급등했고, OpenAI는 브로드컴과 10GW 규모의 칩 계약을 맺으며 브로드컴 주가를 9.9% 끌어올렸다.개장 전
-
KT&G, 3분기 영업이익 4,570억원 전망... 시장 예상 뛰어넘을 듯
KT&G가 3분기 실적에서 시장 예상을 뛰어넘는 호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화투자증권은 14일 발간한 리포트에서 KT&G의 3분기 연결 매출액을 1조8,007억원(전년 동기 대비 10.0% 증가, 전분기 대비 16.3% 증가), 영업이익을 4,570억원(전년 동기 대비 9.4% 증가, 전분기 대비 30.6% 증가)으로 전망하며 시장 컨센서스 영업이익 4,333억원을 상회할 것으로 예상했다. 국내 궐련 부문은 시장점유율이 전분기 대비 0.7%포인트 확대되고 10월 명절 연휴 이전 가수요가 발생한 영향으로 매출액이 성장세로 전환(전년 동기 대비 1.7%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 해외 궐련은 신규 시장 진입 및 유통 커버리지 확대로 평균 판매가격(ASP)과 수량
-
삼성전자, 3분기 영업이익 12.1조원 '깜짝 실적'...다시 보는 '삼전'
삼성전자가 3분기 메모리 반도체 호황에 힘입어 시장 예상을 뛰어넘는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 인공지능(AI) 수요 확대로 DRAM 공급 부족이 심화되면서 HBM 가격 협상에도 우호적 환경이 조성되고 있어 향후 실적 개선 전망이 더욱 밝아졌다는 분석이다.삼성전자는 14일 3분기 잠정 실적을 발표하며 매출액 86조원(전분기 대비 15% 증가), 영업이익 12조1천억원(전분기 대비 156% 증가)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SK증권 전망치를 15%, 시장 컨센서스를 18% 상회하는 수치다.사업부문별로는 DS(디바이스솔루션) 부문이 7조1천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전체 실적을 견인했다. 이 중 메모리 반도체는 7조7천억원의 영업이익을 냈으며, DRA
-
LG에너지솔루션, 'ESS 효과'로 3분기 깜짝 실적...다시 주목받는 이유
LG에너지솔루션이 에너지저장장치(ESS) 사업의 본격 성장에 힘입어 3분기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 미국 첨단제조생산세액공제(AMPC) 감소에도 불구하고 수익성을 개선하며 배터리 업계 침체 속 유일하게 흑자 기조를 이어가고 있어 주목된다.유진투자증권은 14일 발간한 리포트에서 LG에너지솔루션의 3분기 실적을 분석하며 투자의견 매수(BUY)와 목표주가 43만원을 유지했다. 회사는 3분기 매출액 5조7천억원(전분기 대비 2% 증가, 전년 대비 17% 감소), 영업이익 6,013억원(전분기 대비 22% 증가, 전년 대비 34% 증가)을 기록하며 증권가 추정치와 시장 컨센서스를 모두 웃도는 성과를 거뒀다.AMPC 세액공제를 제외한 순수 영업이익은 2,3
-
[13일 시황]코스피, 미·중 신경전 속 선방... 희토류·리튬 관련주 급등
13일 국내 증시가 미국과 중국 간 재개된 무역 갈등 여파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선방했다.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 조치가 오히려 국내 희귀금속 및 리튬 관련주에는 호재로 작용하며 강세를 보였다.이날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26.19포인트(0.72%) 하락한 3,584.55에 장을 마감했다. 코스닥은 1.01포인트(0.12%) 오른 860.49를 기록했다. 개인이 각각 1조 1,689억 원, 1,167억 원 순매수한 반면, 외국인과 기관은 매도 우위였다.강진혁 신한투자증권 선임연구원은 "최근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 조치에 트럼프 대통령이 미·중 정상회담 불참 및 대중국 100% 추가 관세 부과(11월 1일부터)를 언급하면서 변동성이 크게 확대됐다"고 설명했
-
[ETF 동향]금 ETF로 자금 몰려...미·중 갈등 재점화에 안전자산 선호
미국과 중국의 갈등 재점화 우려로 증시가 큰 폭 조정을 받는 가운데, 안전자산인 금 ETF로 자금이 집중되고 있다.키움증권은 13일 발간한 'ETF Weekly' 리포트를 통해 지난주 글로벌 ETF 시장 동향을 분석하며 이같이 밝혔다.지난주 미국 대표 지수 및 ETF는 일제히 하락 마감했다. SPY는 -2.4%, QQQ -2.3%, DIA -2.7%, IWM -3.3%를 기록했다. 정부 셧다운 속에서도 AI·반도체주 중심으로 상승 흐름을 이어가던 증시는 주 후반 미·중 갈등 재점화 우려를 빌미로 큰 폭 조정을 받았다.APEC 정상회담을 앞두고 중국은 희토류 수출 통제 강화와 미국 선박 수수료 인상 등을 발표했다. 이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과의 회담 취소 및 중국 수입
-
우리금융, 3분기 실적 컨센서스 하회 예상..."CET1 비율 격차 축소 기대 어려워"
우리금융지주가 3분기 실적에서 시장 기대치를 밑돌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대규모 생산적 금융 투자 계획으로 자본비율 개선 속도가 둔화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하나증권은 13일 우리금융지주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BUY)'와 목표주가 3만 원을 유지했다. 3분기 경상 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4.3% 감소한 8,650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3분기 중 동양생명·ABL생명 인수와 관련한 염가매수차익이 약 4,500억원가량 발생하면서 실제 표면 순이익은 1조2천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된다.최정욱 하나증권 애널리스트는 "경상 순익이 컨센서스를 하회할 것으로 예상하는 이유는 비이자이익 감소와 대손비용 때문"이라고 설명했
-
카카오뱅크, 3분기 일회성 비용에 '발목'... "4분기부터 개인사업자로 반등"
카카오뱅크가 3분기 일회성 비용 증가로 시장 기대치를 밑돌 것으로 전망되지만, 4분기부터 개인사업자 대출을 앞세워 본격 반등에 나설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대신증권은 13일 카카오뱅크에 대해 투자의견 'Marketperform(시장수익률)', 목표주가 3만 원을 유지하며 3분기 순이익이 1,069억 원(전분기 대비 -15.3%, 전년 동기 대비 -13.9%)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박혜진 대신증권 애널리스트는 "3분기 순이익은 컨센서스를 18.9% 하회할 것"이라며 "광고선전비, 대손비용 등 일회성 비용 반영에 기인한 것"이라고 설명했다.3분기 실적 부진은 여러 일회성 요인이 겹친 결과다. 카카오뱅크는 AI 서비스(검색, 금융계산기) 출시로 광고선전비와
-
글로벌 헬스케어, 관세 우려 걷히며 반등 신호... "4분기 상승 모멘텀 견조"
글로벌 헬스케어 섹터가 올해 최대 하방 리스크였던 의약품 관세 불확실성에서 벗어나며 반등 모멘텀을 되찾고 있다.신한투자증권은 13일 '글로벌 헬스케어; 우려 완화, 상승 모멘텀 견조' 리포트를 통해 의약품 관세 리스크가 완화된 가운데 10월 중순부터 주요 학회와 실적 발표가 예정돼 있어 헬스케어 섹터의 상승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올해 글로벌 헬스케어 섹터의 가장 큰 하방 압력 요인이었던 의약품 관세 우려가 완화됐다. 화이자는 메디케이드에 공급하는 약물 가격 인하를 수용하고 의약품 관세를 3년간 면제받았다. 아스트라제네카도 약가 인하-관세 유예 합의를 발표했다. 다른 대형 제약사들도 트럼프 행정부와 유사한 합의
-
[10일 마감] 코스피, 하루만에 3,600선 안착…AI 밸류체인이 주도
국내 증시가 AI(인공지능) 열풍을 타고 연휴 이후 급등세를 보이며 단숨에 3,600선을 돌파했다. 지난 목요일 3,500선을 넘어선 코스피가 불과 하루 만에 100포인트 가까이 치솟으며 연중 최고치 행진을 이어갔다.1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61.42포인트(1.73%) 오른 3,610.60에 거래를 마쳤다. 코스닥도 5.19포인트(0.61%) 상승한 859.49를 기록했다.이날 증시 상승은 연휴 기간 미국 증시에서 형성된 AI 자신감이 국내로 전이된 결과다. AMD와 오픈AI 간 파트너십 체결 소식과 엔비디아 젠슨 황 CEO의 블랙웰 수요 강조 발언으로 AI 기술주에 대한 낙관론이 되살아났다. 미국 반도체 지수(SOX)가 이번 주 3.9% 급등하며
-
F&F, 3분기 중국 성장 확실·내수 회복 신호..."목표가는 9만5,000원으로 하향"
패션 전문 기업 F&F가 3분기 중국 시장에서 확실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국내 내수 시장에서도 회복 신호가 포착되고 있다.유진투자증권은 10일 F&F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BUY)'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는 기존 10만5,000원에서 9만5,000원으로 하향 조정했다. 괴리율 축소를 반영한 조치다.이해니 유진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F&F의 3분기 연결 매출액을 4,751억원(전년 동기 대비 +5.4%), 영업이익 1,117억원(+3.2%)으로 전망했다.부문별로 살펴보면 MLB는 730억원(+2.5%), MLB 키즈 148억원(+6.5%), MLB 중국 2,817억원(+12.6%), MLB 홍콩 148억원(-5.0%), 디스커버리 573억원(-8.5%)의 매출액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애널리스트
-
삼성중공업, LNGC·FLNG 본격 수주 시동..."목표가 2만9,000원으로 상향"
삼성중공업이 LNG운반선(LNGC)과 부유식 LNG 생산설비(FLNG)의 본격적인 수주 행진을 시작하면서 중장기 성장성에 청신호가 켜졌다.SK증권은 10일 삼성중공업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는 기존 2만4,000원에서 2만9,000원으로 20.8% 상향 조정했다. 목표주가는 2027년 추정 주당순자산가치(BPS) 7,335원에 목표 주가순자산비율(P/B) 4.0배를 적용해 산출했다.한승한 SK증권 애널리스트는 삼성중공업의 3분기 연결 매출액이 2조6,201억원(전년 동기 대비 +12.8%, 전분기 대비 -2.3%), 영업이익 2,139억원(+78.5%, +2.5%)을 기록하며 시장 컨센서스(2,141억원)에 부합할 것으로 전망했다.한 애널리스트는 "임단협 비용 약 350억원
-
"연휴에도 쉬지 않은 개미들"...해외주식 거래대금 사상 최고 경신
추석 연휴, 국내 증시는 쉬었지만 개인투자자들은 쉬지 않았다. 오히려 해외주식 시장에서 더욱 활발하게 움직이며 AI와 반도체 종목에 베팅을 늘렸다.신한투자증권 강진혁 애널리스트는 10일 발간한 '신한 Market Review & Insight' 보고서에서 "개인투자자들이 연휴 직전 국내 주식을 대거 매도한 뒤 그 자금으로 해외주식을 적극 매수했다"고 분석했다.개천절과 한글날이 겹친 추석 연휴로 국내 증시는 5거래일 연속 휴장했다. 개인투자자들은 연휴를 앞둔 지난주 4일간 양 시장에서 5조원을 순매도했고, 연휴 하루 전에만 3.1조원을 팔아치웠다.하지만 개인들은 연휴 기간 해외주식 거래를 더욱 활발히 이어갔다. 해외주식 5일 이동평균 거래
-
CJ제일제당, 사료·축산사업 1.1조원에 매각...재무구조 개선 기대
CJ제일제당이 사료·축산 사업부문을 네덜란드 동물사료 기업 De Heus에 매각하기로 결정했다. 오랜 기간 답보상태였던 비핵심 사업을 정리하고 재무구조 개선에 나서면서, 식품 중심의 포트폴리오 재편에 속도를 낸다는 평가다.한화투자증권은 최근 CJ제일제당에 대해 투자의견 'Hold(보유)'와 목표주가 25만원을 유지하는 기업분석 보고서를 발표했다.CJ제일제당은 10월 1일 CJ피드앤케어 등 14개 법인을 De Heus에 매각한다고 공시했다. 다만 연 매출 약 1,900억원 규모로 추정되는 중국과 미얀마 사업은 매각 대상에서 제외됐다. 매각 대상 자회사들의 기업가치는 약 1조1천억원으로 평가된다. 순차입금 약 8,000억원을 제외한 순수 처분금액
-
한국 증시 휴장 동안에도 뉴욕증시는 최고치 행진!
미국 증시가 연방정부 셧다운과 AI 거품 논란을 뚫고 사상 최고치 행진을 이어갔다. 엔비디아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의 강력한 AI 낙관론이 시장의 우려를 단숨에 잠재우며 투자심리를 끌어올렸다.8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0.58% 오른 6,753.72에, 나스닥 종합지수는 1.12% 상승한 23,043.38에 각각 마감하며 종가 기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보합권에서 0.00% 하락한 46,601.78에 거래를 마쳤다.이날 증시 상승의 견인차는 시가총액 1위 엔비디아였다. 엔비디아 주가는 2.2% 급등하며 지수 상승을 주도했다. 황 CEO가 이날 방송 인터뷰에서 AI 시장의 폭발적 성장을 확인시켜준 것이
-
한강벨트 규제 확대 시 '명암 갈린다'…동작·강동은 대출 5천만원↓, 성동·광진은 '무풍'
정부의 한강벨트 규제 확대가 현실화될 경우, 같은 한강변 지역이라도 지역별로 대출 규제 효과가 크게 엇갈릴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현재 집값 급등세를 보이는 성동·광진·마포구는 규제 효과가 제한적인 반면, 동작·강동·양천구 등은 대출 가능액이 큰 폭으로 줄어 자기자본 부담이 커질 전망이다.9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한강벨트 비규제지역이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으로 지정될 경우,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이 현행 70%에서 40%로 강화되면서 지역별로 상반된 영향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됐다.핵심은 '6억원 한도'다. 현재 강남3구와 용산구를 제외한 비규제지역은 LTV 70%가 적용되지만, 6·27 대책의 '6억원 한도'
-
삼성전기, 목표가 25만원 상향…"MLCC 호황 사이클 초입"
삼성전기가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호황 사이클 진입을 예고하며 증권가의 주목을 받고 있다. 키움증권은 2일 삼성전기에 대해 목표가를 기존 20만원에서 25만원으로 상향 조정하며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다.김소원 키움증권 연구원은 이날 발표한 리포트에서 삼성전기의 3분기 영업이익을 2,553억원, 4분기 영업이익을 1,918억원으로 전망했다. 이는 시장 컨센서스(3분기 2,430억원, 4분기 1,787억원)를 각각 5%, 7% 상회하는 수치다.주목할 점은 통상 재고 조정 시기인 4분기에도 견조한 실적이 예상된다는 점이다. 3분기 매출액은 2조8,644억원(전분기 대비 3% 증가, 전년 동기 대비 10% 증가), 4분기 매출액은 2조7,604억원(전분기 대비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