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pic-Who
-
쿠팡 박대준 대표, 이사회 의장 선임…"AI 물류혁신 가속화"
쿠팡이 전국 '쿠세권'(로켓배송 가능 지역) 확장에 속도를 내기 위해 대규모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기존 강한승·박대준 각자대표 체제에서 박대준 단독 대표 체제로 전환하며, 박 대표가 이사회 의장까지 겸임하게 된다고 26일 발표했다.박대준 대표는 쿠팡의 경영 전반을 총괄하면서 이사회 의장직도 맡게 된다. 그는 2012년 쿠팡에 정책담당 실장으로 합류한 후 2019년 정책 담당 부사장을 거쳐 2020년부터 신사업 부문 대표를 맡아왔다.박 대표는 AI 물류 혁신을 바탕으로 전국 로켓배송 확대와 대규모 일자리 창출 등 쿠팡의 혁신 신사업과 지역 인프라 개발을 주도해왔다. 특히 지방자치단체, 정부 기관과 협업으로 시작한 상설기획관 '착한
-
김영찬 골프존그룹 회장, 미국 Golf Inc. '아시아 골프산업 최고 영향력' 3년 연속 1위 선정
김영찬 골프존그룹 회장이 미국의 권위 있는 골프전문지 Golf Inc.에서 발표한 '아시아 골프산업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에서 3년 연속 1위에 선정되며 글로벌 골프산업계에서의 확고한 위상을 재확인했다.Golf Inc.는 5월 발행 본지를 통해 한국 골프 대중화와 전 세계 골프산업 발전에 기여한 김영찬 회장을 아시아 골프산업 최고 영향력 인물로 소개했다. 매체는 "골프존 창립자 김영찬 회장은 수년간 부동의 1위 자리를 지켜왔다"며 그의 지속적인 영향력을 높이 평가했다.글로벌 확장으로 입증한 리더십김영찬 회장의 이번 수상은 골프존그룹의 적극적인 글로벌 확장 전략과 혁신적인 기술력이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결과로 분석된다. Go
-
효성 조현준 회장, 왜 베일에 쌓인 ‘테크펀드’에 지분을 팔았나
조현준 효성 회장이 효성중공업 지분 4.90%를 미국계 글로벌 테크 펀드에 총 2596억원을 받고 매각했다. 이번 거래는 단순한 상속세 재원 마련을 넘어서, 외부 장기 자본 유치를 통한 전략적 지배구조 재편과 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포석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조현준 회장은 최근 부친 고(故) 조석래 명예회장의 유산 상속에 따라 1000억원 이상의 거액 상속세 납부가 예정돼 있어, 이번 매각이 상속세 납부 재원 마련 차원에서 진행된 것으로 파악된다. 효성중공업 공시에 따르면 조 회장은 22일 장외 시간외매매(블록딜)를 통해 주식 45만6903주(4.90%)를 처분했다.4.90% 45만6903주 2596억 받고 팔아매각가는 전일 종가인 59만 3000원
-
이해진 복귀, 네이버 대변혁... AI·글로벌 확장 위해 미국 진출 본격화
약 7년 만에 이사회 의장으로 경영 전면에 복귀한 이해진 네이버 창업자가 인공지능(AI)과 글로벌 시장 확대를 양대 축으로 한 전면적인 사업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그의 복귀는 네이버가 AI라는 거대한 기술 변혁의 파고 속에서 국내 시장 수성을 넘어 글로벌 기술 지형에서 독자적인 생존과 성장을 모색해야 하는 절박한 시점에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실리콘밸리 진출과 '네이버 벤처스' 출범이 의장의 복귀 후 첫 가시적 행보는 미국 진출이다. 오는 6월 5일 그는 최수연 네이버 대표, 김남선 전략투자 부문 대표와 함께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벤처캐피털(VC) 및 스타트업 창업자 100여 명을 초청해 대규모 투자 네트워킹 행사를
-
LS전선 구본규, ‘만찬경영’ 활용 대권행보 이어간다
LS그룹 오너 3세 중 한 명인 구본규 LS전선 대표가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차남 에릭 트럼프가 주최한 만찬에 초청받아 참석하며 글로벌 무대에서의 존재감을 확대하고 있다. 그동안 '조용한 경영'으로 일관해온 구 대표가 적극적인 대외 활동을 펼치며 LS그룹 경영권 승계의 유력한 후보로 주목받고 있다.22일 LS전선에 따르면 구본규 대표는 21일 트럼프 오거니제이션 수석부사장인 에릭 트럼프가 주최한 2조원 규모 리조트 개발 기공식 만찬에 참석했다. 이번 초청은 LS전선의 미국 해저케이블 공장 투자에 대한 감사의 의미로 이뤄진 것으로, 1조원 규모의 대규모 투자가 미국 정계와 경제계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음을 보여준다
-
한화 김동선 부사장 오른팔 류형우는 누구?
한화그룹이 8700억원 규모의 대형 인수합병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며, 이를 주도한 핵심 인물에 대한 파격적인 보상 인사를 단행했다. 아워홈 인수를 이끈 류형우 한화갤러리아 M&A 담당 실장이 상무로의 승진 인사를 통해 한화그룹 역사상 최연소 임원에 이름을 올렸다.1990년생인 류형우 신임 상무는 35세의 나이로 한화그룹 내 최초 1990년대생 임원이 되었다. 보수적인 연공서열 중심의 조직 문화가 강했던 한화그룹에서 이례적인 인사로 평가된다. 한화호텔앤드리조트는 류 실장을 아워홈 전략실장 상무로 임명하는 임원 승진 인사를 발표했다.이번 인사는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의 3남인 김동선 부사장이 경영을 주도하는 유통부문 체제에서
-
[맞수 탐구②] 롯데쇼핑 vs 이마트
신동빈의 글로벌 확장에 박차를 가하는 '뉴 롯데'와 정용진의 파격적 혁신으로 재도약하는 이마트. 한국 유통시장의 양대 산맥이 펼치는 경쟁 구도가 수익성 중심의 체질 개선으로 새 국면을 맞았다. 내수 침체 속에서도 롯데쇼핑은 해외사업 다각화로, 이마트는 고강도 구조조정으로 2025년 1분기 예상을 뛰어넘는 실적을 거두며 맞대결의 새 장을 열었다.롯데쇼핑, 해외 사업 성장 수익성 ‘쑥’롯데쇼핑은 2025년 1분기 연결매출액 3조 4,568억원(전년동기대비 -2%), 영업이익 1,482억원(전년동기대비 +29%)을 기록해 영업이익 기준 시장기대치(1,317억원)를 상회하는 호실적을 달성했다. 특히 백화점 사업부의 두각이 두드러졌다. 국내 백화점
-
버팀목 사라진 최성환 사장, 독자경영 빨간불
최신원 전 SK네트웍스 회장이 대법원에서 횡령 혐의로 실형을 확정받은 가운데, SK네트웍스와 SK(주) 지분을 대부분 처분하면서 그룹 내 입지가 사실상 무너지게 됐다. 이로 인해 그의 아들인 최성환 SK네트웍스 사장의 경영 기반 역시 흔들리고 있어 향후 행보가 주목된다. 이는 최근 SK그룹 내 세대교체와 지배구조 재편 과정에서 주요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지분 정리로 그룹내 입지 사실상 무너져지난 5월 15일 대법원 3부(주심 오석준 대법관)는 최신원 전 회장에게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법상 횡령 등 혐의로 징역 2년 6개월을 선고한 원심판결을 확정했다. 최 전 회장은 개인 골프장 사업 추진과 가족·친인척 허위 급여 지급, 개인 유상
-
삼성 반도체 구원투수, 전영현 부회장 1년 성적은
삼성전자가 반도체 사업의 부활을 위해 지난해 5월 '깜짝 인사'로 발탁한 전영현 DS(디바이스솔루션) 부문장(부회장)이 취임 1주년을 맞았다. 당시 유례없는 위기에 직면한 삼성 반도체 사업의 '구원투수'로 등판한 전 부회장은 지난 1년간 무엇을 했으며, 반도체 시장의 '왕좌'를 되찾기 위한 여정은 어디까지 왔을까."근원적 경쟁력 회복"... 냉철한 진단과 과감한 투자반도체 시장은 글로벌 경기 둔화와 수요 위축, 과잉 재고 등으로 밑바닥을 찍었다가 2023년 하반기 AI(인공지능) 붐에 힘입어 다시 활기를 찾기 시작했다. 특히 생성형 AI의 급부상으로 데이터센터용 고성능 메모리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했고, 이는 시장의 새로운 성장 동력
-
광폭 행보 조현민號, '비전 2025' 달성 가시권
올해 창립 80주년을 맞은 한진이 조현민 사장의 적극적인 글로벌 확장 전략과 디지털 사업 강화에 힘입어 지난해 사상 첫 매출 3조원을 돌파했다. 이는 물류 산업의 치열한 경쟁 속에서 이룬 괄목할 만한 성과로, 조현민 사장이 2022년 제시한 '비전 2025'의 달성이 가시권에 들어왔다는 평가가 업계에서 나오고 있다.한진은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 3조142억원, 영업이익 1225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는 전년 대비 매출은 7.4% 증가한 수치로,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공급망 불안정과 물류비 상승 등 여러 악재 속에서도 이뤄낸 성과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영업이익은 지난해 12월 통상임금 관련 대법원 판결에 따른 추정 부담분
-
CJ 이미경 부회장. USC 영화예술대학 졸업식 연설 기립박수
CJ그룹 이미경 부회장이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USC) 영화예술학교(School of Cinematic Arts) 2025년 졸업식에서 연사로 나서 후배 창작자들에게 삶의 가치를 전하며 전체 청중의 기립 박수를 받았다.이 부회장은 지난 16일(현지시간) 미국 로스앤젤레스 슈라인 오디토리엄에서 열린 졸업식에서 '겸손(humility)', '끈기(resilience)', '배려(compassion)'라는 삶의 핵심 가치를 중심으로 자신의 경험과 교훈을 나눴다.할리우드와 인접한 USC 영화예술학교는 '스타워즈' 시리즈의 창시자 조지 루커스를 비롯해 세계적 영화인들을 다수 배출한 영화·예술계의 명문으로 알려져 있다."이미경 없었다면 드림웍스도 없었을 것"도나 랭글리 NBC유
-
한양증권, 1분기 순이익 58% 증가... 매각 절차는 불확실
한양증권이 올해 1분기 호실적을 기록했다. 한양증권은 15일 발표한 1분기 실적에서 순이익 211억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134억원) 대비 58% 증가했다고 밝혔다. 영업이익도 294억원으로 전년 동기(196억원)보다 50% 늘었다.특히 기업의 수익성을 보여주는 자기자본이익률(ROE)은 연 환산 기준 16.3%로 업계 최상위 수준을 기록했다. 이번 호실적은 채권과 기업금융(IB),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트레이딩 등 전 사업 부문의 고른 성장에 힘입은 것으로 분석된다.한양증권 관계자는 "채권 부문은 전략적 포지셔닝을 통해 호실적을 견인했고, IB는 여신전문금융채권과 신종자본증권 대표 주관 및 인수 실적이 안정적으로 이어졌다"며 "부동산
-
[보스상륙작전 ⑥ 동원] 배 타며 시작하는 3세 경영승계
동원그룹 오너가의 3세 경영 수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김남정 동원그룹 회장의 장남 김동찬(25)씨가 지난해 12월 공개채용을 통해 그룹 모회사인 동원산업에 입사해 해양수산사업부 소속 사원으로 근무 중이다. 이는 단순한 취업이 아닌 김재철 명예회장부터 이어온 동원그룹의 경영 철학과 승계 전통을 잇는 중요한 행보로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특히 주목할 점은 김씨가 입사 6개월도 되지 않아 원양어선에 승선할 예정이라는 것이다. 이르면 이달 말부터 약 한 달간 남태평양 적도 인근에서 참치잡이 전 과정을 직접 경험하게 된다. 원양어선에서 먹고 자며 어군 탐지, 투망 등을 직접 보고 실습할 예정이다. 이는 동원그룹의 핵심 사업
-
내수는 죽 쑤는데 ... 이마트 부활시킨 정용진 회장의 비결은
내수 침체와 유통 구조 재편이라는 악조건 속에서도 이마트가 올해 1분기 '깜짝 실적'을 거두며 8년 만에 분기 기준 최대 성과를 달성했다. 업계에서는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이 취임 1년 만에 이끈 '본업 경쟁력 강화' 전략이 주효했다는 평가가 나온다.이마트는 올해 1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1593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38.2% 급증했다고 12일 공시했다. 이는 증권가 평균 전망치인 1251억 원을 27% 이상 웃도는 '어닝서프라이즈'며, 2017년 1분기(1676억 원) 이후 8년 만에 분기 최대 실적이다. 같은 기간 매출과 순이익도 7조 2189억 원, 836억 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0.2%, 184.6% 증가했다.특히 이마트 본업인 할인점 부
-
리드코프, 메이슨캐피탈 주식 616억원어치 취득..."대부업 틀에 갇힐 수 없다"
리드코프가 메이슨캐피탈 주식 616억원어치를 취득해 지분율 47.3%를 확보한 것으로 확인됐다. 한화그룹 김승연 회장의 처남인 서홍민 회장이 이끄는 리드코프는 국내 금융시장에서 지속적인 사업 확장과 수익 창출에 나서고 있다.리드코프는 2021년 4월 캑터스프라이빗에쿼티(PE)를 통해 메이슨캐피탈을 인수한 바 있다. 당시 리드코프는 캑터스바이아웃6호펀드에 380억원을 출자하고, 이 펀드를 통해 메이슨캐피탈 주식 5,200만주(지분율 약 34%)를 260억원에 인수했다. 여기에 전환사채(CB) 콜옵션 60억원어치를 추가로 매입하며 영향력을 확대했다.리드코프의 이번 주식 추가 취득은 국내 대부업체들의 사업 다각화 전략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
트럼프 주니어 만난 롯데 후계자 ‘신유열’은 누구?
롯데그룹의 미래를 이끌어갈 것으로 기대되는 신유열 롯데지주 미래성장실장(부사장)이 최근 방한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장남 트럼프 주니어와 면담을 가졌다. 신 부사장은 이 만남을 위해 인도네시아와 베트남을 잇는 동남아시아 출장 일정을 중단하고 급히 귀국했었다.신부사장은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의 아들로, 경영 후계자로 점차 입지를 다지고 있는 인물이다. 현재 롯데지주 미래성장실장과 롯데바이오로직스 글로벌전략실장을 겸직하며, 롯데파이낸셜의 대표이사도 맡고 있는 중이다.롯데그룹의 미래 성장동력을 발굴하는 임무를 맡은 신 부사장은 트럼프 주니어와의 만남에서 롯데의 주요 신사업인 바이오 분야에 대한 협력 방
-
‘K-브랜드지수’ CEO 1위 이재용, 최태원·정용진·김승연·구광모·신동빈 뒤이어
빅데이터 평가 기관인 아시아브랜드연구소는 'K-브랜드지수' CEO 부문 1위에 이재용 삼성그룹 회장이 선정됐다고 7일 발표했다.국가대표 브랜드를 표방하는 K-브랜드지수는 해당 부문별 퍼블릭(Public)·트렌드(Trend)·미디어(Media)·소셜(Social)·긍정(Positive)·부정(Negative)·활성화(TA)·커뮤니티(Community) 인덱스 등의 가중치 배제 기준을 적용한 합산 수치로 산출된다.이번 K-브랜드지수 CEO 부문은 공정거래위원회 발표 공시대상 기업집단 CEO를 대상으로, 2025년 4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의 온라인 빅데이터 1억 1693만 1849건을 분석했다.K-브랜드지수 CEO 부문은 1위 이재용(삼성)에 뒤이어 2위 최태원(SK), 3위 정용진(신세계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