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테오랩스 관계자는 "시저 NFT 프로젝트는 로마의 황제 율리우스 카이사르(영문식 명칭 '시저')를 아이덴티티로 삼은 인간형 PFPs NFT 프로젝트"라면서 "전세계적으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성공을 거둔 인물 혹은 기업 등을 대상으로 한 비즈니스 상호작용 및 협업 네트워크 구축을 목표로 한 글로벌 NFT 프로젝트"라고 전했다.
시저의 특별한 점은 제네시스 소환을 통해 다수의 홀더를 선모집하고 민팅을 진행해 가스비를 절약하여 회사의 부담을 더는 방식의 민팅 방식이 아닌 회사가 직접 모든 가스비를 지불하고 전체 수량을 한번에 민팅해내는 방식을 선택한 것이 눈길을 끈다. 메테오랩스 관계자에 따르면 "이러한 방식을 채택한것은 메테오랩스가 얼마나 이 프로젝트에 얼마나 열정을 쏟고 있는지 알 수 있는 대목"이라고 밝혔다.
메테오랩스가 시저 NFT를 통해 향후 지원할 기술적 주요 특징으로는 ▲판테온(Pantheon)에 접속할 수 있는 엑세스 권한 부여 ▲별도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시저 간편인증 기능 ▲실물 아이템 연계 블록체인 인증 기능 ▲시저 캐릭터를 통한 메타버스 플랫폼 확장 등이 있다. 추가적으로 다양한 기업들과 협업을 통해 여러 혜택을 제공한다는 게 메테오랩스의 목표이다.
또한 메테오랩스는 시저 NFT에 연결된 캐릭터 IP의 상업적 사용 라이센스를 해당 NFT의 소유자에게 부여한다고 밝히며 2차 창작 및 시저 NFT를 활용한 다양한 파생 프로젝트를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러한 라이센스를 지원하는 해외 NFT 프로젝트로는 '지루한 유인원들의 요트 클럽(Bored Ape Yacht Club, 통칭 "BAYC")'가 있다. BAYC는 하나의 작품이 한화 6억원 가까이 거래될 정도로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NFT 프로젝트로 시저 NFT와 마찬가지로 PFPs NFT의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NFT 소유자에게 해당 NFT 캐릭터에 대한 2차 라이센스를 부여하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메테오랩스는 시저 NFT의 목표가 글로벌 비즈니스 상호작용 및 협업 네트워크 구축이라는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다양한 메타버스 비즈니스 플랫폼을 선보일 예정이라면서 '판테온(Pantheon)'이 그 시작이라고 밝혔다. 판테온은 시저의 웹사이트에서 접속할 수 있는 메타버스 공간으로 시저들은 해당 공간에서 자유롭게 비즈니스 및 협업을 즉시 시작할 수 있다고 한다. 판테온이 지원하는 기능으로는 ▲인증된 시저들만 접속할 수 있는 엑세스 권한 ▲나의 메시지가 즉시 상대방이 설정한 국가 및 언어로 변환되어 전송되는 '실시간 번역 전송' 기능 ▲여러 시저들과 모여 있는 공간에서 특정 시저와만 대화를 나눌 수 있는 프라이빗 챗 기능 등 다양한 비즈니스 기능들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한다.
또한 메테오랩스는 "판테온에서 그치지 않고 다양한 메타버스 기술을 활용하여 시공간의 제약을 없앤 메타버스 비즈니스 플랫폼 영역의 선두주자가 되기 위한 플랜을 수행하고 있다"면서 "내년에 발표되는 애플의 비전 프로 등과 같은 메타버스 관련 기술들의 진화가 새로운 메타버스 비즈니스 플랫폼 시대를 열 것이라고 의심치 않는다"고 전했다.
한편 시저 NFT는 현재 글로벌 1위 NFT 마켓 플레이스인 '오픈시(Opensea)'를 비롯하여 라러블(Rarible), 룩스레어(Looksrare), 2X2Y등에서 만나볼 수 있다. 이외에도 해외 마켓 플레이스인 블러(Blur)는 빠른 시일내에 컬렉션 입점을 진행할 예정이며, 국내 NFT 마켓 플레이스인 '업비트 NFT'와 '코빗 NFT'에도 컬렉션 입점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시저 NFT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시저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황성수 글로벌에픽 기자 epic@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