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 사업부인 로직스(CDMO)는 1/2/3공장과 4공장 6만 리터가 풀 가동되고 18만 리터가 램프업 중인 영향으로 매출액 1조 142억원(전년동기대비 +25%), 영업이익 4,770억원(전년동기대비 +45%)의 호실적을 달성했다. 반면 에피스는 전년동기 약 2,200억원의 마일스톤 유입이 이번 분기에는 없어 매출액 4,010억원(전년동기대비 -24%)으로 감소했다.
관세, 환율 변동 등 대외 불확실성 요소들로 인해 상당히 보수적으로 제시했던 가이던스를 의약품 품목관세 1년~1.5년 연기되는 등 올해 매출액 가이던스를 현실화하여 제시했다는 것이 회사 측 설명이다. 이는 당초 우려됐던 무역 리스크가 완화되면서 실적 가시성이 높아졌음을 의미한다.
키움증권 허혜민 애널리스트는 "4공장의 빠른 램프업으로 하반기 이익률은 지난해 대비 감소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며 "상반기 수주 역시 3조4천억원으로 전년 연간 수주액의 60% 수준으로 작년보다 빠르게 차고 있다는 점이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6공장은 예정대로 2027년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어, 연내 착공 소식을 들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해외 공장 증설은 트럼프 행정부에서 다양한 혜택도 제공하고 있는 만큼 검토 중일 것으로 추측된다.
다만 허 애널리스트는 "펀더멘털이 레벨업되고 주가를 급반전시킬 만한 모멘텀이 부재해 분할 전까지 박스권 흐름이 예상된다"면서도 "언제나 탄탄한 실적을 시현하고 있어 동사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을 유지하며, 관세, 공급망, 환율 등 대외환경이 우호적인 흐름으로 변화한다면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전망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10월 29일 분할 상장을 앞두고 있다. 7월 29일 분할주주총회를 위한 주주확정일을 시작으로 9월 16일 주주총회, 9월 29일~10월 28일 주식매매 정지를 거쳐 10월 29일 변경상장 및 재상장일을 맞는다. 분할 후에는 CDMO 사업부문을 담당하는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자회사 관리 및 신규투자를 담당하는 삼성에피스홀딩스로 나뉘어 상장될 예정이다.
CMO 수주 현황도 양호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2분기 말 기준 누적 수주액은 104조원에 달하며, FDA 승인 343건, EMA 승인 363건 등 글로벌 승인 현황도 지속 확대되고 있다. 바이오시밀러 파이프라인 역시 다양한 적응증에서 임상이 진행 중이어서 중장기 성장 동력이 탄탄하게 구축되고 있는 상황이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