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회의에서 주목할 점은 연준위원들의 의견 차이가 드러났다는 것이다. 6월 만장일치로 금리 동결을 결정했던 것과 달리, 7월에는 투표권을 갖고 있는 12명 연준위원 중 월러 이사와 보우먼 이사가 25bp 금리 인하를 주장하며 반대표를 던졌다. 쿠글러 이사는 반대 의사를 표명하지는 않았지만 회의에 불참하며 투표하지 않았다.
연준 내부 이견이 강화된 배경에는 경기와 물가 전망의 불확실성이 여전히 큰 가운데 향후 통화정책 방향에 대한 연준의 고민이 커졌기 때문이다. 이는 성명서 문구에서도 간접적으로 드러났다. 경기 활동에 대한 평가는 '견조한 확장'에서 '성장 둔화'로 수정됐고, 경제 전망 불확실성에 대한 언급도 미묘하게 바뀌었다.
6월에는 경제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이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고 언급했던 반면, 7월에는 경제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며 연준이 향후 경제 경로를 예측하기 어려워졌음을 시사했다.
파월 연준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불확실한 경제 상황에서의 신중함을 강조했다. 파월 의장은 '완만하게 제약적(modestly restrictive)'이라고 평가한 정책 기조를 유지하면서도 성장세 둔화와 노동시장의 잠재적 위험, 관세라는 인플레이션 변수 사이에서 섣부른 예측보다 지켜보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특히 파월 의장은 민간 국내 최종 구매 성장률 둔화를 언급하며 미국 경제 판단을 하향 조정했다. GDP의 70%가 넘는 민간소비가 둔화된 것이 추세적으로 이어질지를 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노동시장에 대해서도 여전히 견고한 균형 상태라는 기존 입장을 유지했지만 하방 위험을 언급했다.
관세로 인한 물가 상승에 대한 우려도 지속됐다. 파월 의장은 높은 관세가 일부 상품 가격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고 진단하며, 일시적 가격 상승에 그칠지 혹은 지속적 인플레이션 압력으로 작용할지가 현재 평가하고 관리해야 할 가장 큰 위험이라고 강조했다.
복잡한 상황 속에서 연준은 서두르지 않겠다는 입장도 명확히 했다. 시장과 행정부의 9월 인하 기대에 대해 파월 의장은 아무런 결정을 내리지 않았다고 선을 그었다. 금리 인하 소수의견에 대해서도 다양하고 사려 깊은 토론 과정으로 평가했다.
반면 물가는 서서히 관세 발 충격을 반영하기 시작했다. 재고 축적이 미미한 가전, 의류 등에서 가격 상승이 시작됐고, 관세 비용이 서비스에도 일부 전가되는 조짐이 관찰되고 있다.
하건형 신한투자증권 이코노미스트는 "관세 발 물가 상방 위험이 잔존한 올해까지는 성장보다 물가에 초점을 둔 정책 운용이 예상된다"며 "9월, 12월 금리 인하 전망을 유지하지만 공급 충격이 가을로 지연될 경우 인하 재개 시점이 10월로 밀릴 가능성도 커졌다"고 분석했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