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기술을 적용한 생성형 업무비서 ‘스바봇(SBAbot) 위키’, 직원들의 AI 기반 업무 혁신 실행력을 높이는 ‘AI 탐험대’와 ‘AI 실험실’, 공공기관 최초 ‘AI CEO 아바타’를 활용한 기관 뉴스홍보 서비스까지, SBA는 AI를 활용한 디지털 정책실현에 앞장서기 위해 업무혁신을 적극적으로 실천하고 있다.
- AI로봇동료(일명 ‘스바봇’)는 △급량비 등 단순 전표처리 △기업분석 자동 메일링서비스 △회계지출 ERP승인 및 문서 자동배부 처리 △시내출장비 정산 자동화 △유연근무 알림서비스 등 단순 반복업무를 자동으로 처리해준다.
- 기존 스바봇의 역할이 추가‧확장된 ‘스바봇 위키’는 기관 업무매뉴얼(위키)의 번거로운 정보 탐색 과정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AI 생성형 업무비서이다.
SBA 관계자는 “‘스바봇’은 연간 약 48,000시간을, ‘스바봇 위키’는 연간 4,680시간을 절감하는 효과다”라면서 “이 수치를 인력 기준으로 환산하면 약 25명 규모이며, 이에 따른 연간 비용 절감 효과는 약 10억 원에 달한다”고 설명했다.
- 공공기관 최초로 여러 AI 서비스 기술들을 유기적으로 통합‧제작하여 가상 인물을 구현, 실제 사람이 말하는 것처럼 완성한 ‘AI 아바타’도 눈길을 끈다. 단순한 콘텐츠 실험을 넘어, 기관이 직접 미래 기술을 선도적으로 수용하고 디지털 전환의 최전선에서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홍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SBA는 ‘AI CEO 아바타’를 활용하여 자체 유튜브 채널 ‘스바TV’와 연계, 매월 20여 편의 숏츠를 제작하고 있으며 △공모사업과 기업 모집 중심의 지원사업 △DDP 쇼룸과 서울콘 등 SBA 행사 및 전시를 소개 △경제, 창업, 투자, 글로벌 이슈에 대한 인사이트 등 기관의 다양한 소식과 핵심사업을 시민 친화적으로 적극 홍보하고 있다.
- ‘AI 탐험대’는 내부 임직원의 AI 업무역량 및 실행력 강화를 위한 자발적인 커뮤니티 조직으로, AI 서비스 이용‧체험 △AI 최신트렌드 및 콘텐츠 공유 △AI 활용 교육과정 운영 △직원대상 업무 개선 및 아이디어 제안 등의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 다양한 AI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업무를 추진해 볼 수 있는 ‘AI실험실’은 △AI 맛보기(챗지피티, 클로드, 브이캣 등 10여가지 AI 프로그램 이용) △AI 자료실(최신 AI 트렌드 및 사례, 업무생산성 툴 소개 등) △AI 스터디룸(현업에 적용할 수 있는 Chat-GPT 활용 기술 강의) 등으로 구성되어 직원이 자유롭게 이용하며 AI 업무 실행력을 향상할 수 있도록 돕는다.
한편, SBA는 기관 내부 혁신을 넘어, 서울시민 및 중소기업을 위한 다양한 지원사업 및 AI 및 디지털 전환 지원에도 앞장서고 있다. 협업 생산성 플랫폼 ‘Flow(플로우)’ 무상 지원 사업을 통해 중소기업의 업무 협업 효율화를 촉진하고 있으며, AI 및 디지털 기술을 도입하고자 하는 서울기업을 위해 카카오 엔터테인먼트와 함께 ‘로켓런처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맞춤형 전환 컨설팅 및 실행 지원을 제공한다. 또한 서울시 청년의 취업역량 강화를 위한 청년취업사관학교(새싹) 2.0을 실시하여 전체 교육과정에 AI를 융합‧재편, AI 중심의 미래혁신 인재를 적극 양성하고 있다.
김현우 서울경제진흥원 대표이사는 “중소기업 지원기관으로서 표면적인 AI 혁신 구호에 그치지 않고, 기관이 먼저 AI 기술을 실질적으로 도입·활용함으로써 AI 혁신을 주도하는 기관으로 나아가겠다”며 “앞으로 AI 기반의 업무 효율화가 정부 디지털 정책의 실천적 모델이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글로벌에픽 이수환 CP / lsh@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