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회사 측은 현재 미국·베트남·브라질·영국·인도·일본 등 16개 지역에서 총 403조원을 운용 중이며, 이 중 약 45%인 181조원이 해외에서 운용되고 있다고 밝혔다.
2003년 홍콩법인 설립으로 국내 운용사 최초 해외 진출을 시작한 미래에셋자산운용은 박현주 회장의 글로벌 전략 아래 미국 'Global X', 캐나다 'Horizons ETFs', 호주 'Stockspot' 등과의 M&A를 통해 경쟁력을 강화해왔다. 이러한 노력으로 2022년 말 250조원이던 운용자산은 2023년 말 305조원, 2024년 말 378조원으로 꾸준히 성장했다.
특히 글로벌 ETF 분야에서의 성과가 두드러진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현재 전 세계에서 212조원 규모의 ETF를 운용 중으로, 이는 국내 전체 ETF 시장(약 200조원)보다 큰 규모다. 글로벌 ETF 운용사 순위 12위에 해당하는 수준으로, 지난 10년간 글로벌 평균 성장률(17.8%)의 2배에 달하는 34.4%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미국 시장에서는 'Global X'를 통해 혁신적인 테마 및 인컴형 상품을 제공하며 성공적으로 안착했다. 2018년 인수 당시 8조원이던 운용 규모는 현재 80조원으로 10배 증가했다. 유럽에서는 'Global X EU'가 최근 5년간 연평균 182%의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국내에서는 ETF와 연금, OCIO, 부동산 펀드 등 전 부문에서 고른 성장으로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국내 운용자산은 올해만 약 20조원 증가해 현재 222조원에 달한다. 'TIGER ETF'는 개인 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선택하는 브랜드로, 2024년 TIGER ETF의 총 개인 누적 순매수 규모는 7조 8,594억원으로 국내 ETF 전체 개인 누적 순매수의 40%를 차지했다.
연금 시장에서도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는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최근 국내 종합 자산 운용사 최초로 퇴직연금 전용 로보어드바이저 서비스 'M-ROBO'를 출시하며 '연금 2.0시대'를 열었다. 국내 최초 TDF 출시사로서 '연금 펀드 설정액 1위', 'TDF 점유율 1위', '디폴트옵션 전용 펀드 설정액 1위' 등 연금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부동산 및 인프라 투자 분야에서도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다. 2004년 국내 최초로 부동산펀드를 설정한 이래 21년간의 다양한 투자 트랙 레코드를 보유하고 있으며, 약 8조원 규모의 인프라 펀드에서도 성장이 기대된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