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Life

코로나에도 6월 국내 이동 증가율 최고치...주택 매매량 급증이 원인

2020-07-29 15:20:12

사진= 서초구 지역 아파트이미지 확대보기
사진= 서초구 지역 아파트
[글로벌에듀 이근아 기자] 올해는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으로 인해 이사 가구가 그리 많지 않을 것이라는 당초 예상이 크게 뒤바뀌었다.

통계청은 29일 '2020년 6월 국내인구이동'을 발표하고, 이동자 수가 60만7000명이었다고 밝혔다. 인구 이동률은 무려 14.4%였다.
국내 이동자 수는 전년 동월에 비해 25.3% 나 증가한 수치다. 이는 6월 기준으로 1999년 이후 21년 만에 가장 큰 증가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국내이동 증가세는 주택 거래가 폭증한 데 따른 것으로 볼 수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5월 전국 주택 매매량은 전년 동월에 비해 46.2% 급증했고 6월에는 152.5%까지 증가했다. 6월엔 아파트 거래만 191.0% 증가했다. 정부가 규제정책을 내놓을 즈음 해서 주택 거래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주택 거래가 폭증한 이유는 겁에 질린 구매자들의 '패닉바잉(공황구매)' 때문이었다는 분석이 많다. 당시 수도권을 비롯한 전국 집값이 오르는 상황에서 정부는 주택 구매 자체를 어렵게 하는 강력한 규제 정책을 예고했다. 그러자 '지금이 집을 살 마지막 타이밍'이라는 생각이 퍼지면서 거래량 폭증으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국내 인구이동 규모를 지역별로 보면 총전입 기준으로 경기가 16만6937명, 서울 12만2292명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나머지 지역은 모두 4만명 이하였다.

전입에서 전출을 뺀 '순이동' 기준으로는 경기가 1만2668명으로 가장 많았다. 나머지 지역은 대부분 2000명 이하였으며 서울은 -3932명이었다.

즉 인구이동 증가의 대부분은 수도권에서 일어났으며 특히 경기도로의 유입이 가장 많았음을 알 수 있다.

이근아 글로벌에듀 기자 epic@globalepic.co.kr
리스트바로가기

Pension Economy

epic-Who

epic-Company

epic-Money

epic-Life

epic-Highlight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