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Investment

HBM 호조에 힘입어 '깜짝 실적' 예고... SK하이닉스 3분기 영업이익 12조원 전망

키움증권 목표가 상향, HBM 출하량 예상치 초과에 환율 효과까지 더해져 26% 성장 기대

2025-09-15 10:11:49

HBM 호조에 힘입어 '깜짝 실적' 예고... SK하이닉스 3분기 영업이익 12조원 전망이미지 확대보기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AI 반도체 열풍 속에서 SK하이닉스가 또 한 번의 깜짝 실적을 예고하고 있다.
키움증권은 15일 발표한 투자보고서에서 SK하이닉스의 3분기 영업이익이 11조6천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26% 증가할 것이라며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서프라이즈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키움증권에 따르면 SK하이닉스의 3분기 매출액은 24조3천억원(+9%QoQ), 영업이익은 11조6천억원(+26%QoQ)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HBM 출하량이 기존 예상치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되고, eSSD의 수요 개선과 가격 상승도 예상치를 상회할 전망이기 때문이다. 여기에 원달러 평균 환율이 기존 예상보다 높은 1,385원을 기록하고 있어 전사 영업이익 전망치 상향 조정의 배경이 됐다.

DRAM 부문에서는 매출액 19조2천억원(+13%QoQ), 영업이익 11조6천억원(+23%QoQ)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출하량은 8% 증가하여 기존 회사 측 가이던스 및 당사 예상치를 넘어설 것으로 판단된다. 가격 면에서도 블렌디드 ASP가 5%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범용 DRAM이 9%, HBM이 5% 각각 오를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HBM은 출하량 4% 증가, 가격 5% 상승으로 기존 전망치를 상향 조정했다.

NAND 부문은 여전히 어려운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매출액 4조7천억원(-1%QoQ), 영업적자 300억원으로 적자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출하량은 1% 증가에 그치고, 가격은 1% 하락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기존 전망치 대비 하락폭은 축소된 상황이다.

4분기에는 다소 주춤할 전망이다. 키움증권은 4분기 매출액 23조2천억원(-5%QoQ), 영업이익 9조7천억원(-17%QoQ)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범용 DRAM 및 NAND 업황 회복이 예상되지만, HBM3e 12hi의 제품 단가 하락이 조기 반영될 수 있는 우려와 연말 성과급 등의 일회성 비용이 반영됐기 때문이다.

DRAM 부문에서는 4분기 매출액 18조5천억원(-4%QoQ), 영업이익 9조9천억원(-14%QoQ)을 전망한다. 연말 비수기 진입으로 출하량 성장률이 1%로 둔화되고, 블렌디드 ASP는 5%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범용 DRAM은 4% 상승하지만 HBM은 13% 하락할 것으로 분석됐다.

HBM 시장에서의 SK하이닉스 위상도 더욱 강화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SK하이닉스 DRAM 영업이익에서 HBM이 차지하는 비중이 41%에서 2025년에는 53%로 확대될 전망이다. HBM 매출액도 2024년 13조원에서 2025년 32조원으로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6년 HBM4 시장 전망도 밝다. 전체 HBM 시장 규모가 329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SK하이닉스는 주요 플레이어로서 상당한 시장 점유율을 확보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HBM3e(Blackwell향) 시장에서도 137억달러 규모의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유지할 것으로 분석됐다.

키움증권 박유악 애널리스트는 "SK하이닉스의 3분기 실적 호조 및 ASIC향 AI 수요 강세 영향으로 반등을 기록했다"며 "시장 내의 지나친 우려 속에서 예상되는 3분기 실적 호조가 단기 주가 반등을 이끌 것"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그는 "현 주가에서는 HBM 경쟁 심화와 CXMT의 범용 서버 DRAM 시장 진입 우려를 감안해야 한다"며 "HBM4 시장 경쟁의 심화가 예상되고, 서버 DRAM의 경우 최근 CXMT가 중국 하이퍼스케일러로 제품의 양산 공급을 시작한 것으로 파악되기 때문"이라고 신중한 접근을 당부했다.

SK하이닉스는 메모리 반도체 업황 회복과 함께 AI 시대의 핵심 부품인 HBM 시장에서의 독보적 지위를 바탕으로 견조한 실적 개선을 이어가고 있다. 3분기 예상되는 깜짝 실적이 현실화된다면, 하반기 주가 반등의 중요한 모멘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리스트바로가기

Pension Economy

epic-Who

epic-Company

epic-Money

epic-Life

epic-Highlight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