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14시 국회의원회관(제1세미나실)에서 열린 이번 토론회는 ▴임현택 국민대 특임교수의 '한강, 서울의 미래’'발표를 시작으로 ▴한강버스 발전 방향(박동진 ㈜이크루즈 대표이사) ▴한강르네상스와 그레이트한강 프로젝트 정책 성과(박진영 서울시 미래한강본부장) ▴한강의 가치(김상혁 가천대 교수)에 대한 발표와 논의가 이어졌다.
오 시장은 "치수(治水)에서 이수(利水)로, '한강르네상스'를 시작한 지 20여 년 만에 한강은 시민이 꼽은 서울의 상징이자 한 해 8천만 명이 찾는 명소가 됐다"며 "오늘 논의해 주신 의견을 경청해 '한강'을 시민이 더 사랑하는 공간이자 도시경쟁력을 높이는 랜드마크로 자리매김시킬 정책에 적극 반영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시는 '2023 서울서베이'에서 시민이 생각하는 서울의 상징 1위에 '한강'이 올랐다고 발표한 바 있다. '한강'은 2010년 조사에서 4위를 차지했으나 10여 년 만에 1위에 올랐다.
이날 기조발표자로 나선 임현택 국민대 특임교수는 "우리 민족의 역사와 함께 흘러온 ‘한강’은 과거와 현재의 연결점이자 대한민국 성장과 발전을 견인할 상징적 현장”이라 말하고, AI 기술을 통해 도시경쟁력을 높이고 사람과 자연을 잇는 지속가능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한강 행동'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또 박진영 미래한강본부장은 "한강르네상스를 통해 '자연성 회복'과 '이용 활성화', 두 가지 목표를 이뤘다면 그레이트한강 프로젝트를 통해서는 한강이 지닌 잠재력을 깨우고 글로벌 경쟁력, 경제적 가치를 창출해 내는 공간으로 성장시킬 것"이라며 포부와 기대를 공유했다.
[글로벌에픽 오경희 CP / oughkh@naver.com]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