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산석유화학단지는 여수, 울산과 함께 국내 3대 석유화학단지로 꼽히며 에틸렌 생산량 국내 2위를 차지할 정도로 국가 기간산업의 핵심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최근 중국과 중동의 대규모 생산시설 증설로 글로벌 공급 과잉이 심화되면서 직격탄을 맞았다.
지난해 공장 가동률은 74.3%로 세 단지 중 가장 낮았고, 올해 2분기에는 68%까지 하락했다. 기업들의 국세 납부액은 2022년 1조 4951억 원에서 2023년 1160억 원으로 91.9% 줄었고, 법인지방소득세도 같은 기간 429억 원에서 32억 원으로 92.5% 감소했다. 세수 급감은 고용지표 악화와 지역 내 폐업률 상승으로 이어지며 지역경제 전반의 침체를 가속화했다.
충남도는 올해 초 HD현대오일뱅크에서 열린 경제상황 점검회의 이후 서산시, 충남테크노파크, 상공회의소, 기업들과 협의체를 꾸려 대책 마련에 나섰다. 김태흠 지사가 직접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을 최우선 과제로 제시했고, 성일종 국회의원과 산업부 등 관계기관이 힘을 보탰다. 지난달 제출한 지정 신청서는 산업부 현장 실사와 심의를 거쳐 이번에 최종 확정됐다.
이번 지정으로 서산시는 앞으로 2년 동안 긴급경영안정자금 지원과 지방투자촉진보조금 상향, 대출 만기 연장 및 원금 상환 유예 등 다양한 지원을 받게 된다. 중진공 10억 원, 소진공 7000만 원의 자금이 투입되고, 대기업은 최대 12%, 중견기업은 20%, 중소기업은 25%까지 보조금 우대가 적용된다. 지방교부세도 약 600억 원이 추가로 배정될 전망이다.
이와 별도로 충남도와 서산시는 2조 6000억 원 규모의 5개 분야 26개 사업을 발굴해 정부 예산 확보에도 나선다.
도는 이번 조치를 단기적인 위기 대응을 넘어 미래 산업으로의 전환 계기로 삼을 계획이다. 서산 대산석유화학단지에는 올해 2월 지속가능항공유(SAF) 종합실증센터가 들어섰으며, 탄소중립 실증지원센터도 구축 중이다. 여기에 국가산업단지 지정과 에탄 터미널 조성 등을 통해 석유화학 산업의 고부가가치화를 추진하고 있다.
김태흠 지사는 "이번 지정은 석유화학산업 생태계를 회복하고 미래형 산업구조로 도약하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도와 서산시가 함께 위기 극복과 지역경제 회복을 위해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글로벌에픽 오경희 CP / oughkh@naver.com]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