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23일 기준 베트남의 대표 지수인 VN 지수는 1,512.3포인트를 기록했다. 이는 6월 저점(1,310.5pt) 대비 15.4% 급등한 수준으로, 역대 최고치에 근접한 상황이다. 외국인 자금 유출세도 7월 들어 진정되며 수급 여건이 점진적으로 개선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베트남 증시 급등을 이끈 핵심 요인은 크게 세 가지로 분석된다.
첫째, 견조한 경제 펀더멘털이다. 2025년 2분기 베트남의 GDP 성장률은 7.96%를 기록하며 글로벌 주요국 중 최고 수준을 달성했다. 제조업과 내수 소비가 동반 회복된 가운데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14% 급증하며 전체 성장을 견인했다. 이러한 실물경제 회복은 베트남 증시의 중장기 투자 매력을 한층 강화하고 있다.
둘째, 대외 리스크 완화다. 베트남은 7월 초 영국에 이어 두 번째로 미국과의 관세 협상 타결에 성공했다. 협상 조건이 베트남에 절대적으로 유리한 수준은 아니었지만, 타결 자체가 대외 불확실성을 완화하며 투자 환경에 대한 신뢰 회복을 이끌어냈다.
셋째, 하반기 FTSE 이머징마켓 편입 기대감이다. 이는 현재 증시 랠리를 주도하는 가장 결정적인 요인으로 평가된다. 베트남은 2018년부터 FTSE의 이머징마켓 관찰대상국으로 지정됐지만, 제도적 미비로 수차례 승격이 보류됐다. 하지만 올해 5월 KRX 시스템 도입으로 결제주기 단축, 외국인 투자자 계좌 개설 간소화 등 기술적 요건이 크게 개선되면서 승격 조건 대부분을 충족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9~10월까지 상승 탄력 지속될 것"
향후 베트남 증시는 FTSE 발표 전후로 나누어 접근할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다.
다만 최근 지수가 단기간에 급등하면서 피로감이 누적된 상황인 만큼 조정 가능성도 염두에 둬야 한다는 지적이다. 일부 차익 실현 후 조정 시 매수하는 전략이 유효할 것으로 판단된다.
FTSE 발표 이후에는 시장 관심이 다시 펀더멘털로 이동할 가능성이 높다. 승격이 실제로 이뤄지더라도 실물경기가 이를 뒷받침하지 못할 경우 추가 상승 여력은 제한될 수 있다. 특히 2분기 수출 호조가 프론트로딩에 따른 일시적 효과일 수 있는 만큼, 3분기 수출 및 GDP 지표가 시장의 중기 모멘텀 지속 여부를 가늠하는 핵심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