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 시장은 27일 오전 청년동 공유공간에서 열린 ‘청년잡(Job)담’ 토크콘서트에서 청년들과 직접 소통에 나서 광명시 청년정책의 방향과 실효성 있는 일자리 전략 추진을 약속했다.
이어 “청년이 당당하게 사회에 나설 수 있도록 청년의 자립을 돕고 가능성을 확장하는 정책 기반을 차근차근 쌓아가고 있다”며 “일자리 그 이상의 가치를 담은 정책으로 청년의 성장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박 시장은 청년이 주도적으로 시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마련된 ▲청년위원회 ▲청년숙의예산토론회 ▲청년의 날 축제추진단 등 다양한 소통 채널을 소개하며 ‘청년의 주도적 참여 역시 광명시 청년정책의 핵심 축’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행사는 ‘2025 광명청년인턴 뉴스타트 사업’의 종강식으로, 실전 취업 전략 공유와 시장과 함께하는 정책 소통의 장으로 의미를 더했다.
토크콘서트에는 청년들이 희망 직무로 꼽은 공공행정과 마케팅 분야 현직자가 연사로 나서 실질적인 취업 조언을 전했다. 특히 마케팅 강연을 맡은 윤진호 강사는 전(前) 월트디즈니컴퍼니코리아와 CJ ENM의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업계 트렌드와 직무 준비 전략을 생생히 전달해 큰 호응을 얻었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한 청년은 “막연했던 진로 고민에 실질적인 힌트를 얻고, 시장님과 직접 이야기 나누며 응원을 받은 기분”이라며 만족감을 드러냈다.
광명청년인턴 뉴스타트 사업은 공공일자리 가운데서도 ‘취업지원형’에 초점을 맞춘 프로그램으로, 8회기의 집중 취업역량 강화 교육과 전문 직업상담을 병행해 실질적인 경쟁력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광명시는 ▲새내기청년 일자리사업 ▲광명청년인턴 뉴스타트 사업 ▲청년아르바이트 사업 등 다양한 공공일자리 정책을 통해 청년들에게 현장 경험과 진로 탐색 기회를 제공하고 있으며, 현재 94명의 청년이 시청과 산하기관, 문화·복지시설 등에서 근무 중이다.
청년동과 제2청년동 ‘청춘곳간’도 경제 자립과 커뮤니티 형성을 위한 청년 특화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광명시는 청년이 선택하고 성장할 수 있는 도시 구현을 목표로 청년 맞춤형 정책을 개발해 나갈 방침이다.
[글로벌에픽 이정훈 CP / smedail@daum.net]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