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강은 청년 복지포인트 참여자와 사업에 관심있는 경기도 거주 청년 2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일, 회사, 관계를 바꾸는 대화의 기술’을 주제로 실무에 즉시 적용 가능한 직장 내 소통 능력 향상과 실전 스피치 전략을 전달했다.
강의는 직장 내 갈등 상황에서의 대화 방식, 효과적인 피드백 전달법 등 실질적 사례를 중심으로 진행돼 참여자들의 큰 호응을 이끌었다. 재단은 직무특강을 시작으로 청년 재직자의 직무역량 강화와 정서적 안정까지 지원하는 ‘청년 노동자 지원 플러스+ 사업’ 추진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청년 노동자 지원 플러스+ 사업’은 도내 중소기업에 재직 중인 청년 복지포인트 참여자의 커리어 성장과 장기근속을 유도하기 위한 통합지원 프로그램이다. 직무 역량을 높이는 교육뿐만 아니라, 심리상담 등 정서적 회복도 함께 제공된다.
사업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해 운영된다. 주요 프로그램에는 ▲직무 기초역량 강화를 위한 온라인 교육 ▲자기주도 학습조직 ‘자가발전소’ 운영 ▲심리상담과 힐링 체험을 결합한 EAP(Employee Assistance Program) 서비스가 있다. 참여자는 실무 중심 교육과 정서적 회복을 병행해 자기계발과 업무 몰입을 동시에 경험할 수 있다.
또한, 재단은 잡아바 러닝센터와 협력해 전용 온라인 플랫폼 ‘청년 노동자 지원 플러스+관’을 운영한다. 이를 통해 사업 안내는 물론, 이력서·자기소개서 첨삭, 우수 중소기업 채용정보 등 실질적인 취업지원 서비스가 제공된다.
이번 사업은 기존 복지포인트 참여자뿐만 아니라, 오는 6월과 8월 중 모집 예정인 신규 참여자도 지원 대상에 포함된다. 재단은 직무교육과 정서지원을 병행함으로써 청년의 장기근속을 유도하고, 사업 참여율과 지속성을 높여 나갈 계획이다.
자세한 내용은 잡아바 러닝센터 연계 ‘청년 노동자 지원 플러스+관’ (lms.jobaba.net/plus/home.do)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경기도 청년 복지포인트 사업’은 도내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업체에 재직 중인 청년을 대상으로 연간 최대 120만 포인트의 복지 혜택을 지원하는 제도다. 참여 청년은 경기청년몰을 통해 건강, 여가, 자기계발 등 다양한 분야의 복지 서비스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글로벌에픽 이정훈 CP / smedail@daum.net]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