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일 국토교통부 항공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항공 여객 수는 1억50만8천875명으로, 2019년 1억2천336만6천608명의 81.5%를 회복했다.
지난 2020∼2022년 연간 항공 여객 수는 코로나로 인해 2019년의 절반에도 못미쳤다.
특히 국제선 항공 여객은 코로나 기간인 지난 2021년에는 321만명으로 쪼그라들기도 했다.
그러나 지난해 국내선 항공 여객 수는 3천219만명으로 2019년(3천298만명)의 97.6% 수준으로, 국제선 항공 여객 수는 6천832만명으로, 4년 전(9천39만명)의 75.6%로 회복했다.
지난 2019년과 비교한 지난해 지역별 국제선 회복률을 보면 일본이 102.8%로 개별 국가 가운데 가장 높았다. 작년 일본 노선 이용객은 1천938만명으로 2019년에 비해 50만명 이상 증가했다.
1년 내내 이어진 엔저(엔화 약세) 현상으로 여행 비용이 크게 줄었고 항공편 공급도 급증한 데 따른 것이다.
미주 노선 항공 여객은 561만명으로 2019년에 비해 1.2% 증가했다. 미주는 다른 지역들보다 상대적으로 엔데믹 전환이 빨랐다.
지난해 8월 중국인의 한국 단체관광이 재개됐지만, 중국 경기 침체로 해외여행 수요 자체가 감소했다. 이는 단체관광 위주였던 여행 트렌드가 개별 관광으로 바뀐 영향때문으로 분석된다.
유럽 노선은 지난해 263만명이 이용하면서 회복률이 64.5%였고, 대양주 노선은 263만명이 이용해 회복률 75.3%로 집계됐다.
이성수 글로벌에픽 기자 lss@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