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람인이 성인남녀 3,000명을 대상으로 '코로나 보복소비'에 대해 조사한 결과 38.3%는 보복소비를 한 경험이 있거나 계획하고 있다고 답했다.
특히 연령대가 낮을수록 보복소비 비율은 높아졌다. 20대(46.3%)가 가장 많았으며 30대(42.2%), 40대(31.4%), 50대(18%) 순이었다.
또한 '미혼'(43.6%)이 '기혼'(28.2%)보다 보복소비 경험이 많았다.
보복소비 이유로는 '코로나19로 우울함이 깊어져서 쇼핑으로 해소하려고'(55.5%, 복수응답)가 1위로 꼽혔다. 이 밖에도 '집콕 장기화로 관련 제품들 구매욕구가 생겨서'(46.6%), '여가시간에 주로 인터넷 쇼핑을 하게 돼서'(31.5%), '언택트 소비가 가능한 물품이 많아져서 손 쉽게 구입할 수 있어서'(31.5%), '코로나19로 불가능해진 것들이 많아 돈을 쓸데가 없어서'(16.1%) 등이 뒤를 이었다.
보복소비로 구매한 상품도 연령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20대는 절반 가까이가 '패션제품'(45.2%, 복수응답)을 구매한다고 답했다. 30대는 '집 인테리어 관련 제품'(18.9%), 40대(36.4%)와 50대(25.4%)는 '홈쿡 관련 제품'을 선호했다.
지출 비용은 연령대에 비례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각각 20대 월평균 '74만 원', 30대 '99만 원', 40대 '140만 원', 50대 '125만 원'으로 집계됐다. 지출비용은 구매력이 높은 40대가 20대의 두배 가량 됐고, 40대 지출비용을 연간 비용으로 환산하면 무려 1,680만 원을 지출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흥미로운 점은 소비 유형이다. 코로나19로 늘어난 소비 유형 1위는 가격 대비 성능을 우선시하는 '가성비 소비'(33.9%, 복수응답)가 차지했다. 2위는 심리적인 만족감까지 중시하는 '가심비 소비'(31.2%)였다.
차진희 글로벌에픽 기자 epic@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