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
크리스탈신소재, 28조 엔비디아 채택 액체냉각 핵심 AI 신소재 기술 개발 성공
크리스탈신소재가 AI(인공지능) 신소재 기술 개발을 통해 200억 달러 시장 공략에 나선다.크리스탈신소재는 오는 22일 본사에서 'AI 물결 속의 신소재 과학기술 기업의 산업 전환 및 고도화 성과 발표회'를 개최한다고 14일 밝혔다.주요 주제는 '재료에서 계산력까지: AI 인프라의 근본적인 혁신' 및 'AI 신소재 기술 연구개발 실험실'이며, 기술 연구 개발과 제품 파일럿 테스트 결과를 공개할 계획이다. '재료에서 계산력까지: AI 인프라의 근본적인 혁신'에서는 기존 공기 냉각 방식보다 수십 배 효율 향상을 달성한 차세대 인공지능 데이터 센터(AIDC) 액침 냉각 소재 기술이 소개된다.'AI 신소재 기술 연구개발 실험실'에서는 △운모 기반 복
-
아이센스, 삼성전자와 국내 최초 개발 혈당측정기 상용화...디지털 당뇨 관리 시장 진입
글로벌 바이오센서 전문기업 아이센스(099190, 각자 대표 차근식, 남학현)는 삼성전자와 스마트 혈당 패키지 ‘마이 헬스폰’을 오는 4월 14일부터 5월 11일까지 판매한다고 밝혔다.‘마이 헬스폰’은 앱 자동 설치 지원하는 B2B 전용 Knox 솔루션을 활용하여 연속혈당측정기 ‘케어센스 에어’앱을 탑재한 갤럭시 S25 시리즈와 갤럭시 워치7, 연속혈당측정기, 코칭 서비스 등이 포함된 헬스케어 특화 패키지를 제공하는 통합형 서비스 모델이다.케어센스 에어는 국내 최초로 상용화된 연속혈당측정기로 기존 자가혈당측정기와는 달리 사용자의 팔에 부착하는 웨어러블 센서로 혈당을 자동으로 연속 측정한다. 사용자가 손끝 채혈 없이도 스마트폰
-
한텍, 선박 엔진 탄소포집 기술 개발 성공…트럼프 韓 조선업 협력에 한·미 탄소 저감 해양기술 동맹 주목
친환경 조선 산업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한텍이 개발 중인 ‘선박 엔진 기반 탄소 포집 및 저장 기술(CCS)’이 해양 탄소중립의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 조선업과의 전략적 협력을 시사하면서, 글로벌 조선·해운업계의 탈탄소 전환 속 국내 관련 기술 보유 기업들의 가치가 재조명되고 있다.한텍은 선박 내부에 설치 가능한 소형 탄소 포집 및 저장 시스템을 독자 기술로 개발 중이며, 해당 장비는 디젤 및 LNG 엔진 연소 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실시간으로 포집해 저장하거나 외부로 이송 가능한 구조를 갖추고 있다. 특히 해양 환경에 특화된 진동 내성, 고온 내구
-
삼현, 전기항공기 드론 등 추진체 개발 착수…독일 기업과 공동 개발 핵심 추진체 선제적 개발
모션 컨트롤 전문기업 삼현이 ‘글로벌 항공 모빌리티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4자간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삼현은 지난 10일, 창원특례시, 창원산업진흥원, 독일의 Kasaero사와 함께 ‘글로벌 항공 모빌리티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4자간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전기추진 항공기(Electric Propulsion Aircraft) 및 드론, UAM 등 미래항공 모빌리티 분야에서 기술 협업과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한 선제적 행보로 평가된다.삼현은 전기 추진체(EPU, Electric Propulsion Unit)를 개발하고, Kasaero사는 기존 항공기의 개조 및 시험 지원, 국제인증 획득 등을 지원한다. 창원시와 창원산업진흥원은 행정
-
퀄리타스반도체, 반도체 핵심 IP 구현 성공...美 기업과 계약 상용화 확정
- DSI-2·CSI-2 컨트롤러 개발 병행…모바일·이미징 SoC를 위한 통합 인터페이스 IP 플랫폼 확보11일 업계에 따르면 퀄리타스반도체(Qualitas Semiconductor)가 MIPI D-PHY 및 C/D-PHY Combo IP를 자사 주도 기술로 개발 완료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양산 공급을 진행 중이다. 특히 최근에는 차세대 SoC 설계에 필수적인 최신 공정 노드(fnm) 대응 개발까지 본격화하며, 고속 인터페이스 IP 분야에서 기술 경쟁력을 한층 강화하고 있다.현재 양산 중인 MIPI C/D-PHY Combo IP는 enm 공정 기반으로 구현되었으며, 디스플레이·카메라 인터페이스용 DSI/CSI 컨트롤러와의 연동을 고려한 설계 최적화가 이루어져 있다. 이 PHY IP는 C-PHY 모드에서
-
피플바이오, 세계 최초 전두측두엽 치매 혈액진단 기술 개발 성공...혈액기반 치매 진단 혁신
피플바이오는 최근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열린 퇴행성 뇌 질환 관련 국제학술대회 ADPD 2025에서 전두측두엽 치매(FTD)와 루게릭병(ALS)의 원인 단백질로 알려진 ‘TDP-43 단백질 응집체(올리고머)’를 혈액에서 검출할 수 있는 신규 혈액진단 기술의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10일 밝혔다.TDP-43 단백질은 근위축성 측삭경화증과 전두측두엽 변성 뿐만 아니라 알츠하이머병과 증상이 유사하여 감별진단이 어려운 LATE (변연계 우세 연령 관련 TDP-43 병증) 질환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TDP-43은 다른 퇴행성 뇌질환처럼 단량체로 존재할 때는 문제가 되지 않으나 단백질 응집체가 형성되면서 질병의 원인이 된다.피플바이오는 TDP-43
-
HPSP, 세계 유일이자 독점 반도체 핵심 장비 개발...450℃ 이하·100% 수소 농도 구현 가능 유일
반도체 어닐링 장비 분야에서 글로벌 독보적 기술력을 보유한 HPSP가 선보인 ‘GENI-SYS’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고압 환경에서 100% 수소 농도를 유지하며 저온 어닐링을 구현할 수 있는 장비로, 지난 15년간 단 한 차례도 동일 수준의 경쟁 장비가 등장하지 않은 독점 기술 플랫폼이다.10일 업계에 따르면 GENI-SYS는 기존의 저압·고온 방식의 어닐링 장비와는 완전히 다른 기술 철학을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450℃ 이하의 공정 온도에서도 100% 순도의 수소 농도 유지를 가능케 하는 고압 어닐링 기술은 현재까지 오직 HPSP만이 구현할 수 있는 세계 유일의 공정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해당 장비는 중수소, 수소, 질소, 산소 등 다양한 고압
-
SGC에너지, 여야 ‘800조 탄소포집 산업’ 대선공약 화두…탄소포집 등 포트폴리오 완비
차기 정부의 핵심 국정과제로 ‘800조원 규모의 탄소포집(CCUS) 산업 육성’이 여야 대선 공약으로 제시되면서, 해당 산업 생태계의 수혜주로 SGC에너지가 주목받고 있다.SGC에너지는 산업단지 기반 집단에너지사업자로, 열과 전기를 안정 공급하는 것은 물론, 온실가스 감축 활동을 통해 탄소배출권을 확보하고, REC(재생에너지 인증서)까지 확보한 에너지 다각화 모델을 이미 갖춘 기업이다. 특히 회사가 지속적으로 투자해온 탄소포집 기술과 운영 노하우는 차세대 저탄소 산업의 교두보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최근 정부와 정치권은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800조원 규모의 탄소포집 산업을 전략적으로 육성하겠다는 입장을 밝히며, 관
-
에스피시스템스, 세계 최초 로봇 리니어 가이드 핵심 소재 개발 성공...고가 수입소재 대체로 핵심 부품 국산화
자동화 및 로봇 부품 전문기업 에스피시스템스가 세계 최초로 국산 소재 POSMN55CR을 적용한 리니어 모션 가이드 제품 개발에 성공하며, 로봇 산업의 핵심 부품 국산화에 큰 진전을 이뤘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이번 기술 개발은 고정밀 구동 장치에 필수적인 리니어 가이드에 고가 수입 소재를 대체할 수 있는 신소재를 적용한 사례로,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기존 리니어 가이드 제품은 58CrMoV4(크롬몰리브덴강)이라는 고성능 강재를 사용하지만, 이 소재는 국내 사용량이 적고 대부분 유럽에서 수입해야 하는 구조로 인해 높은 원가와 불안정한 수급 문제가 상존했다.이에 따라 에스피시스템스는 국내 기술로 개발한 POSMN55CR 소재를 기반
-
유티아이, 플렉서블 글라스 개발 성공…글로벌 기업과 연계 상용화 준비
스마트 글라스 전문기업 유티아이(UTI)가 차세대 디스플레이 핵심 소재인 플렉서블 글라스(Flexible Glass) 개발을 완료하고, 오는 2026년 양산을 목표로 본격적인 상용화 준비에 돌입했다. 이로써 유티아이는 폴더블폰, 롤러블 디바이스, 고사양 노트북 등 차세대 전자기기 시장에서 선도적인 소재 공급사로 도약할 기반을 마련했다.9일 업계에 따르면 유티아이가 개발한 플렉서블 글라스는 두께 수십 마이크로미터(㎛) 수준의 초박막 유리로, 유리 특유의 투명성과 내스크래치성을 유지하면서도 반복 휨에도 깨지지 않는 유연성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특히, 글로벌 디바이스 메이커들과의 공동 개발을 통해 실사용 환경에 적합한 내구성과 안정
-
엑시콘, 세계 최초 반도체 핵심장비 신규개발 성공...고객사 승인으로 연내 양산 돌입
반도체 검사 장비 전문기업 엑시콘이 자체 개발한 ‘Chamber Type Low-Frequency Tester(챔버 타입 저주파 테스트 장비)’가 주요 고객사로부터 승인을 획득하며, 연내 양산에 돌입할 예정이다.9일 업계에 따르면 이번 제품은 엑시콘이 전략적으로 추진해온 차세대 반도체 검사 장비 프로젝트의 핵심 모델로, 고객 맞춤형 챔버 설계와 저주파 응답 정확도 향상 기술이 적용됐다. 특히 AI 및 고성능 서버용 반도체 수요 증가에 발맞춰, 데이터 신뢰성과 반복 정밀도 측면에서 기존 장비 대비 획기적인 개선이 이뤄졌다는 평가다.엑시콘의 이번 Tester는 최근 국내 주요 반도체 기업의 기술 승인(Test Pass)을 마쳤으며, 현재 양산 전 최종 검증 단
-
“클로바인, 글로벌 1위 싹쓸이…글로벌 경쟁력 입증”
- 켑테라(Captterra)에 이어 제품의 우수성 증명- 25년 해외 이용자 20만명 돌파 예상클라우드 기반 프로젝트 관리 솔루션 ‘클로바인(Clovine)’이 글로벌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평가 플랫폼인 ‘소프트웨어 어드바이스(Software Advice)’의 2025년 FrontRunners 보고서에서 총 6개 부문에 선정되며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입증했다.FrontRunners 보고서는 세계적인 소프트웨어 리뷰 플랫폼인 소프트웨어 어드바이스(Software Advice)가 매년 발행하는 평가 리포트로, 전 세계 300개 이상의 소프트웨어 카테고리를 분석해 상위 제품을 선정한다. 해당 보고서는 실제 사용자 리뷰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성(Usability)’과 ‘사용자 추천(Use
-
[특징주] 앱트뉴로사이언스, 이재명 최측근 경기도청 방송특보 부사장 영입 '강세'
조기 대선일이 오는 6월 3일로 확정되면서 국내 증시에서 정치 테마주 영향력이 확대되고 있다. 앱트뉴로사이언스는 최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측근으로 꼽히는 경기도청 전 방송특보 부사장을 영입하면서 관심을 모은다.9일 오전 9시 33분 현재 앱트뉴로사이언스는 전 거래일 대비 6.39% 오른 1065원에 거래되고 있다.이날 관련 업계와 앱트뉴로사이언스에 따르면 앱트뉴로사이언스는 최근 최웅기 경기도청 전 방송특보를 부사장으로 영입했다.최 전 특보는 지난 2010년부터 SBS 성남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이재명 당시 성남시장 시정을 국민에게 알린 언론 전략 수석이었다. 이러한 인연으로 2018년부터 이재명 경기도 도시자 시절 도청방
-
삼화전자, 관세전쟁 희토류 전쟁으로 확산...탈희토류 기술 페라이트 코어 대체 소재로 주목
글로벌 무역 분쟁이 단순한 관세 전쟁을 넘어 핵심 전략 자원인 ‘희토류’ 전쟁으로 확산되고 있다. 8일 업계에 따르면 세계 산업의 근간이 되는 첨단 전자부품, 전기차, 로봇 등에 필수적인 희토류의 공급망을 둘러싼 갈등이 격화되면서, 희토류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대체 소재에 대한 관심이 급부상하고 있다. 그 중심에 삼화전자의 ‘페라이트 코어’가 있다. 중국은 전 세계 희토류 생산의 약 70% 이상을 차지하는 국가다. 미국과 중국 간의 긴장이 고조되면서, 중국은 희토류 수출 제한이라는 ‘비관세 무기’를 사용할 가능성을 시사해왔다. 특히 로봇, 전기차, 반도체 등 전략 산업에 필수적인 네오디뮴(NdFeB) 자석 등의
-
한국피아이엠, ‘휴머노이드 로봇용 MIM 기술’ 개발…액추에이터 미크론 단위까지 정밀 성형 가능
국내 정밀 소재 기업 한국피아이엠이 세계 최초로 휴머노이드 로봇에 최적화된 금속사출성형(MIM, Metal Injection Molding)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이 기술은 로봇의 관절 및 센서 부품에 필수적인 고정밀·고강도 금속 부품을 친환경 공정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세계 유일의 기술이다.한국피아이엠이 독자적으로 개발한 이 기술은 기존 MIM 공정의 한계를 뛰어넘어, 정밀 관절 부품 및 센서 하우징 등 초소형 정밀 부품의 대량 양산을 가능하게 했다. 특히 인체의 움직임을 정밀하게 모사해야 하는 휴머노이드 로봇의 관절, 액추에이터 부품, 지능형 센서 부착 구조물 등에 최적화되어 있다.회사측은 MIM 기술은 복잡한 3D 형상의 미세 부품
-
[특징주] 코아스, 본격 조기대선 국면...민경중 대표 이재명 선대위 합류 부각↑
코아스의 민경중 대표이사가 이재명 민주당 선대위에 합류한 이력이 부각되면서 급등세다. 7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2022년 민경중 전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사무총장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선거대책위원회에 합류했다. 선대위 산하 미디어·ICT 특별위원회에서 활동한 이력이 부각되고 있다. 현재 민경중 대표이사는 코아스의 경영을 맡고 있다. 당시 언론계 인사로 민병욱 전 언론재단 이사장(차관급), 민경중 전 방통심의위 사무처장(고위직) 등이 있었다. 민경중 대표이사는 전 사무총장은 CBS 기자 출신으로 문재인 후보 미디어특보단에 참여했다. 2018년 2월부터 지난해 10월까지 방통심의위 사무총장을 역임했다. 법무법인 제이피 고문, KBR
-
한국피아이엠, 전세계 의료 타이나튬 MIM 공법 ‘독점’...경쟁자 ‘全無’ 글로벌 수요 확산
의료부품과 같이 타이타늄 소재의 부품을 MIM공법으로 양산하는 회사는 한국피아이엠 이외에 는 전세계 어디에도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한국피아이엠이 의료 부분에서의 타이타늄 MIM 공법을 유일하게 사용하는 기업이다.특히 의료부품과 같이 신뢰성이 우선시되는 부품의 경우 중국과 인도 등 해외기업보다는 국내 업체에 대한 수요가 높은 상황이다.이러한 기술적 우위와 함께 향후 한국피아이엠은 원재료 제조 사업과 베트남 공장 증축 및 생산 설비 확충을 진행 중이며, 이에 따른 원가경쟁력 또한 확보하고 있다.MIM(Metal Injection Molding, 금속분말사출성형) 이란 전통 분말야금기술과 정밀한 플라스틱 부품의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