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신증권은 최근 유틸리티·건설 산업분석 리포트에서 "2029년 이전 AP1000 원전 프로젝트 총 12기 이상 착공이 기대된다"며 업종 투자의견 'Overweight(비중확대)'를 유지했다.
웨스팅하우스의 대주주인 카메코와 브룩필드는 미국 상무부와 미국 및 글로벌 원전 인프라 재건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미국 정부는 신규 원전 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자금 조달 및 인허가 절차를 지원할 예정이다. 최소 800억 달러의 프로젝트 투자 결정이 확정될 경우, 미국 정부는 참여지분을 부여받으며 175억 달러 초과 현금 배당금의 20%를 배분받을 권리도 포함하고 있다.
대신증권은 800억 달러 원전 프로젝트가 AP1000 8기(1GW당 100억 달러)로 추정된다고 분석했다. Fermi America의 첨단 에너지 데이터 캠퍼스 4기(4GW)는 동 파트너십에 제외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2029년 이전 미국에서 12기 이상의 AP1000가 건설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는 엄격한 규제 사업이며 자금조달이 힘든 대형 원전사업을 미국 정부가 직접 이끌어 간다는 점에서 대형 원전 프로젝트 진행 가속화를 알리는 신호탄으로 해석된다.
지난 10월 28일 미국과 일본 간 총 3,500억 달러 규모의 투자 협정이 체결되면서 한국 원자력 산업의 입지가 좁아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이 협정에는 웨스팅하우스의 AP1000 및 SMR 프로젝트 1,000억 달러, GE 베로나-히타치의 BWRX-300 SMR 프로젝트 1,000억 달러 등 원자력 프로젝트 투자와 일본 기업의 협력이 포함됐다.
그러나 대신증권은 이러한 우려가 기우에 불과하다고 판단했다. 원전 건설비용이 가장 비싼 국가 중 하나로 예상되는 미국에서 대형 원전 1기당 100억 달러 건설(체코 APR1000 1기 순공사비는 93억 달러)을 이끌 수 있는 공급망을 확보하고 있는 국가는 한국뿐이라는 분석이다. 일본 기업이 참여한다고 하더라도 미국 내 초기 원전 공급망 구축 과정에서 한국의 역할이 크게 줄어들 가능성은 낮다는 것이다.
미국 내 웨스팅하우스의 원자로(AP1000) 건설에 한국이 참여할 경우, 체코 APR1000의 세부 사업비 구조와 유사하다고 가정하면 한전 및 한수원은 2기당 145억 달러 수준의 수주가 예상된다. 현대건설은 Fermi 프로젝트 1차 계통 EP를 제외한 EPC에 참여하고, 두산에너빌리티는 미국뿐만 아니라 글로벌 프로젝트의 원자로 용기 및 증기발생기를 공급해 2기당 5~6억 달러의 수주가 기대된다. 한전기술은 한수원의 총괄 프로젝트의 종합설계를 맡아 체코의 경우 7.6억 달러 규모가 예상된다.
향후 한국과 미국의 원자력협정에서 '상업용 20% 미만의 우라늄 농축 및 사용후 핵연료 재처리 허가'로 개정될 경우, 4세대 SMR 개발 및 운영에 탄력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4세대 SMR 중 소듐냉각고속로 등은 사용후 핵연료를 재처리한 연료의 사용이 가능한 원자로로, 글로벌 원전 확대에 마지막 숙제인 사용후 핵연료 처분 문제를 풀 수 있는 실마리라는 분석이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