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일 글로벌 완성차업체들의 상반기 실적을 종합 분석한 결과, 현대차그룹은 1월부터 6월까지 전 세계에서 365만4천522대를 판매했다. 이는 도요타그룹(515만9천282대), 폭스바겐그룹(436만3천대)에 이어 3위 수준이다. 하지만 진짜 주목할 성과는 수익성 지표에서 나타났다.
현대차그룹의 상반기 영업이익은 13조86억원에 달했다. 이는 폭스바겐그룹의 영업이익 67억700만유로(약 10조8천600억원)를 2조원 이상 앞선 수치다. 반기 기준으로 현대차그룹이 폭스바겐그룹을 수익성에서 앞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영업이익률 면에서도 현대차그룹의 성과는 인상적이다. 8.7%의 영업이익률을 기록해 폭스바겐그룹의 4.2%를 두 배 이상 웃돌았다. 이는 도요타그룹의 9.2%에 이어 글로벌 2위 수준이다.
글로벌 1위인 도요타그룹은 여전히 압도적이다. 상반기 매출 231조7천806억원, 영업이익 21조4천876억원을 기록하며 독보적인 1위 자리를 지켰다. 하지만 현대차그룹이 보여준 수익성 개선은 분명 의미 있는 변화다.
이번 성과가 주목받는 이유는 글로벌 자동차 업계를 강타한 미국 관세 여파 때문이다. 모든 완성차 업체들이 관세 부담을 안게 됐지만, 현대차그룹은 상대적으로 피해를 최소화했다는 평가다.
도요타그룹이 올해 2분기에만 4조원이 넘는 관세 비용을 감당한 반면, 현대차그룹의 관세 부담은 1조5천억원 수준으로 추산된다. 재고 관리, 생산량 조정 등 신속한 대응 전략이 효과를 본 것으로 분석된다.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현대차그룹이 상반기 영업이익이 10% 이상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관세라는 외부 변수를 고려하면 오히려 선방한 케이스"라고 평가했다.
먼저 폭스바겐그룹이 주력 시장인 중국에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반면 전기차 시장의 양강인 테슬라와 BYD도 최근 성장 속도가 둔화되면서 현대차그룹에게는 기회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무엇보다 미국 관세 문제가 어느 정도 가시화되면서 경영 불확실성이 해소된 점이 긍정적이다. 비록 한국 정부가 당초 목표했던 12.5% 관세율 달성에는 실패했지만, 모든 글로벌 업체가 동일한 조건에서 경쟁하게 됐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글로벌에픽 안재후 CP / anjaehoo@naver.com]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