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바이오팜(326030)이 2분기 연결 기준 매출 1,763억원(전년동기 대비 31.6% 증가), 영업이익 619억원(전년동기 대비 138% 증가, 영업이익률 35.1%)을 달성했다고 6일 발표했다. 특히 영업이익은 시장 컨센서스 대비 72.4%나 높은 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 주력 제품인 엑스코프리의 미국 매출이 이번 분기에만 1.1억 달러를 달성한 영향이 컸다.
1분기 엑스코프리 처방량이 일시적으로 감소했던 것에 대해 회사는 보험사 및 PBM(약국급여관리기구) 프로모션, Formulary(보험급여 의약품 목록) 등을 결정하는 시기에 따른 계절적 특수성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처방 동향 자체는 손상되지 않았다는 점을 이번 실적으로 입증한 셈이다.
회사는 여전히 엑스코프리 연간 매출 가이던스인 4.2억~4.5억 달러를 상향하지 않았으나, 이번 실적 발표로 목표 달성 확률은 매우 높아졌다는 평가다.
하나증권 김선아 애널리스트는 "영업이익이 컨센서스에 비해 72.4%나 높게 나온 것은 이익률이 좋은 엑스코프리 미국 매출이 높았던 영향도 있으나, 올해 1월 유로파마와 설립한 JV인 AI 뇌파 측정 센터와 관련하여 현물출자로 획득한 지분이 회계상 용역 수익으로 인식된 영향도 있다"고 분석했다.
이 영향을 제거하면 순수 영업으로 인한 이익은 약 539억원(전년동기 대비 107%, 전분기 대비 109%)으로, 다른 용역 수익이 없었음에도 영업이익률 30.6% 수준을 달성한 것이라는 설명이다.
2분기 실적은 관세에 대응하여 발생한 매출도 아니다. 동사는 선적 시점이 아닌 도매상에 제품을 양도할 때 매출이 발생하기 때문에, 미국에서의 처방량과 연관성이 매우 높다.
엑스코프리는 3세대 뇌전증 치료제 중 85%의 압도적인 반응률에 기반하여 뇌전증 치료제 시장에서 공고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다른 3세대 제네릭 약물 출시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우상향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실적 발표를 통해 연내에 두 번째 신약을 도입할 의지가 있음을 다시 한 번 확인했다. 2분기 판관비가 현저하게 낮음에도 불구하고 회사는 비용 계획에 대해 보수적인 모습을 보였는데, 신규 파이프라인 도입에 따른 자문 수수료 및 기타 비용 등을 감안한 것으로 분석된다.
하나증권은 하반기 끝으로 갈수록 환율이 1,340원까지 감소할 것이라는 추정치를 반영해 2025년 영업이익 추정치가 소폭 감소했으나, 엑스코프리 판매량 추정치를 상향(4.28억 달러에서 4.37억 달러)해 전체 기업가치에는 큰 영향이 없다며 목표주가 13만원을 유지했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