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의 폭락은 예고된 참사였다. 정부의 세제 개편안이 시장의 기대에 크게 못 미치자 실망 매물이 대거 쏟아지면서 아시아 주요 증시보다 더 크게 하락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외국인과 기관투자가의 대규모 매도세가 주된 원인이었다. 외국인은 하루 만에 유가증권시장에서 6,562억원을 순매도했고, 코스피200 선물 순매도액 4,448억원을 합하면 1조원 이상을 팔아치웠다.
폭락의 근본 원인은 명확했다. 증권시장에 물리는 세금을 늘리는 내용의 세제 개편안이 도화선이 됐다. 특히 배당 성향을 높여 장기 투자를 유도하겠다는 새 정부의 선언에 투자금이 몰렸던 고배당주가 특히 많이 밀렸다.
사태가 이렇게 되자, 다양한 분석이 나왔다. 그중 하나가 '코스피 5000 시대'를 외치며 구성된 특별위원회 위원들의 실제 투자 행태였다.
더불어민주당이 '코스피 5000시대'를 실현하겠다며 출범시킨 특별위원회 소속 국회의원들이 정작 '부동산 부자'들로 주식 투자는 거의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원들이 신고한 재산 내역만 봐도 사실을 알 수 있다. 민주당 '코스피5000시대 실현 특별위원회' 소속 의원 10명의 전체 자산 중 97.8%가 부동산과 현금이었다. 증권 비중은 고작 2.55%에 불과했다.
이는 투자자들에게 이중적 메시지로 다가왔다. 코스피 5000을 외치면서도 정작 본인들은 주식이 아닌 부동산에 '몰빵'하고 있었던 것이다. 한 금융업계 관계자는 "'코스피5000'을 외치면서 정작 본인들은 주식 투자는 하지 않고 부동산에만 몰린 것은 모순"이라며 "국회의원들 대다수가 부동산을 통한 자산 증식을 이루고 있다면, 부동산 불패 신화를 공고히 하는 잘못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아이러니한 사실은 이재명 대통령이 과거부터 "부동산은 끝물"이라며 주식 투자를 강조해왔다는 점이다. 이 후보는 "부동산은 내가 볼 때 꼭지"라며 "거의 끝물에 가까운데 투기 투자 요인보다는 공포 수요가 많은 것 같다"고 말했다. 또한 "제가 대통령이 되면 제일 주력할 부분이 자본시장 육성"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현실은 달랐다. 특위 위원들의 자산 구성을 보면 여전히 부동산이 압도적이었다.
8월 1일의 폭락 이후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분노가 터져 나왔다. "코스피 5000을 외치는 사람들이 정작 주식은 사지 않고 부동산만 사고 있다니", "말로는 자본시장 육성이라면서 세금은 더 올린다", "이게 진짜 투자자를 위한 정책인가" 등의 볼멘소리가 이어졌다.
하지만 현실은 정반대였다. 당정이 추진하는 세제 개편안이 부동산 세금을 강화하지 않으면서 주식시장 세금만 강화하는 방향으로 흐를 시엔 머니무브가 어려워질 수 있다고 비판했다.
8월 1일의 파란색 모니터는 단순한 주가 하락 이상의 의미를 담고 있었다. 그것은 말과 행동이 다른 정치권에 대한 시장의 불신표였고, 진정성 없는 정책에 대한 투자자들의 분노였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