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6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매출액 상위 100대 기업을 분석한 결과, 현대차그룹(9개 사)의 경제기여액은 전년보다 6.1% 증가한 359조4천384억원으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경제기여액은 임직원 급여, 협력사 대금, 정부 법인세, 주주 배당, 기부금 등의 총합으로 기업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을 나타내는 지표다.
현대차그룹의 경제기여액은 A그룹(247조563억원), B그룹(190조173억원), C그룹(145조3천347억원) 등 주요 그룹을 크게 앞질렀다. 전체 경제기여액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23년 21.8%에서 2024년 22.3%로 0.5%포인트 상승했다.
구체적으로 협력사(306조6천295억원), 임직원(34조595억원), 정부(9조2천613억원), 주주(7조5천808억원) 등으로 구성됐다. 계열사별로는 현대차 115조원, 기아 86조원, 현대모비스 52조원 순이었다.
자동차산업의 국내 경제 기여도도 눈에 띈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자동차산업 수출의 생산 유발액은 2천365억달러로 3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전체 수출 생산 유발액에서 자동차 비중은 2020년 13.8%에서 지난해 18.2%로 상승했다.
'K-자동차'의 무역흑자는 사상 최대인 727억달러를 기록했고, 수출액 대비 무역흑자 비중(78%)은 반도체(49%), 일반기계(40%)를 크게 앞질렀다.
국내 직·간접 고용인원은 약 150만명으로 철강(41만명), 반도체(28만명)보다 많았고, 평균임금(6천91만원)도 제조업 평균(5천377만원)을 웃돌았다.
업계 관계자는 "세계 각국의 보호무역주의 강화로 자동차산업이 국가 간 경쟁으로 판도가 바뀌고 있다"며 "우리 자동차업계가 글로벌 경쟁에서 앞서갈 수 있도록 국가적 성원이 필요한 때"라고 강조했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