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펜은 논문컨설팅 산업계의 리더로서 사회적 책임을 안고 지속해서 교육개혁에 관심을 두어 왔다. 그 결과 지식펜은 명실상부 지식컨설팅 기업으로 거듭나고 있다. 이는 철저히 성과 중심의 품질경영에 기반을 둔 덕분이라고 할 수 있다.
지식펜은 이미 12년 전부터 학위를 받지 못하는 이유가 단순히 공부 부족이 아닌 논문 그 자체에 있다는 것을 파악하고 영미대학의 학위논문 평가 기준과 학술적 글쓰기(academic writing) 원칙에 근거하여 1:1 코칭 프로그램을 갖추어 지도하고 있다.
지식펜의 평가 기준에는 크게 네 가지가 있다. 첫째 주제가 얼마나 새롭고 중요한가, 둘째 선행연구들을 얼마나 이해하고 정리하였는가, 셋째 데이터는 정확히 수집되고 분석되었는가, 넷째 연구결과는 얼마나 잘 논의되었는가 등이 해당한다.
그뿐만 아니라 지식펜은 영미 대학의 논문작성법을 기준으로 체계화시킨 가독성 이론을 통해 학술적 글쓰기 원칙을 정립하였다. 가독성 이론은 지식생산과 활용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내야 한다는 논리로써 지식생산을 아우르는 포괄적 개념을 담고 있다.
가독성을 위한 학술적 글쓰기 원칙으로는 1) 문장은 간결하게 작성하기, 2) 품사를 남용하지 않기, 3) 용어를 일관성 있게 사용하기, 4) 한 문장에서는 한 가지 주제만을 다루기, 5) 논리적 근거 없이 단정적 표현 삼가기, 6) 한 문단에 한 가지 주제만을 다루기, 7) 한 문단을 두 개 이상의 문장으로 구성하기, 8) 문단의 구조를 두괄식이나 양괄식으로 하기 등이 있다.
지식펜은 지식생산과 관련하여 가독성 이론 외에도 인재이론(In-jae Theory), 연구 나무 이론(Research Tree Theory), 두뇌 근육이론(Brain Muscle Theory), 우물이론(Well Theory), 벌집이론(Hive Theory) 등을 발표하였다.
이렇게 영미 대학 지식생산능력 평가 기준을 적용한 결과 성공적으로 최단기간의 학위 취득 프로그램을 체계화시킬 수 있었다. 그 결과 박사 논문컨설팅 6개월 과정의 성취율은 약 70%, 석사 논문과 학술지 컨설팅 3개월 과정의 성취율은 약 90%를 웃돌고 있다. 또한, 국내외 최고 수준의 학회지 등재율, 강소기업을 위한 최고 수준의 용역 성과물을 만들어내고 있다.
지식펜은 2008년 영국 London에서 시작되어 2014년 한국 본사, 2016년 부산지사, 2019년 전 세계 19개 지역으로 활동이 확장되어 기업들과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학위논문, SCI논문, 연구용역, 데이터 분석 등 모두 5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는 지식컨설팅 기업이다. 최근에는 세종지사와 대구지사도 오픈하여 명실상부한 국내 최대의 지식허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수환 글로벌에픽 기자 epic@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