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
네이처셀, 美 FDA 전심사관 "조인트스템 유효성 확신"...美 RAMAT 신청 해외에서 빛 보나?
네이처셀의 조인트스템이 국내에서는 품목허가를 받지 못했지만 해외에서 빛을 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8일 약업신문에 따르면 전 FDA 심사관인 서울대 이장익 교수가 조인트스템에 대해 유효성을 확신한다고 언급했다고 보도했다. 이 매체는 네이처셀의 조인트스템이 글로벌 임상시험을 확대하고 나설 것으로 전망했다. 네이처셀은 미국 임상 2b/3a상에 국내 실시기관 3곳을 추가해 임상 대상자 수를 약 50명 확대할 계획으로 이를 통해 조인트스템 글로벌 임상은 약 200명의 대상자가 참여하는 대규모 임상시험으로 확대될 것으로 내다봤다. 현재 미국 임상에는 약 140명의 참여가 계획돼 있다.네이처셀은 국내에서 세 차례 임상시험을 완료
-
[특징주]보락, 대화제약 세계 최초 경구용 함암제 파클리탁셀 제재 中 시판허가 획득에 신 약물 전달체계 DDS 특허 보유 부각
보락이 파클리탁셀에 대한 신 약물 전달체계에 대한 특허를 보유하고 있어 강세다. 이날 대화제약이 세계 최초로 마시는 항암제인 파클리탁셀 제제 리포락셀액(리포락셀)의 위암 치료에 대한 시판허가 승인을 중국 국가식품약품감독관리총국(NMPA)으로부터 획득했다. 8일 대화제약이 기술 수출한 중국 파트너기업 알엠엑스(RMX)바이오파마의 모회사인 하이흐바이오파마는 지난 2022년 9월 중국 국가식품약품감독관리총국에 시판허가를 신청했다.리포락셀은 전 세계 시장 규모 5조원에 달하는 블록버스터 항암치료제 파클리탁셀의 경구용 제제이자 개량신약을 말한다. 대화제약은 대화 지질기반 자체유화 약물전달체계(DHLASED) 플랫폼 기술을 적
-
[특징주] 웨이버스, 공간지능 기술 구글·애플·메타 제치고 세계1위...네이버 공간지능기술 담당
네이버는 네이버랩스가 유럽컴퓨터비전학회(ECCV) 두 부문에서 1위를 차지했다. 특히 네이버의 공강지능기술은 웨이버스가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주목 받고 있다. 8일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는 네이버랩스가 유럽컴퓨터비전학회(ECCV) 두 부문에서 1위를 차지했다. 이는 네이버랩스 공간지능 기술이 컴퓨터 비전 분야 세계 최고 권위의 학회에서 구글, 애플, 메타 기술보다 뛰어나다고 평가받았다.ECCV는 이미지, 영상 등 컴퓨터 비전 분야에 특화된 최신 인공지능(AI) 연구 성과를 발표하고 새 기술 화두를 제시하는 학회다.네이버랩스는 이번 ECCV 2024에서 '무(無)지도 시각 재측위(Map-free visual re-localization)', '6D 물체 자
-
[특징주]나노엔텍, 비만치료제 위고비 노보노디스크 CDMO 써포피셔 공급
나노엔텍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전이 펩트론이 릴리에 비만플랫폼을 기술이전한 가운데 나노엔텍이 위고비를 만드는 노보노디스크의 CDMO 써포피셔에 공급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8일 최근 전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비만치료제 ‘위고비’ 개발사 노보노디스크의 신규 위탁개발생산(CDMO) 업체 써모피셔에 소모품을 공급하고 있는 것이 부각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노보노디스크는 써모피셔의 CDMO 자회사 파테온을 통해 위고비를 생산 중이다. 노보노디스크는 CDMO 업체 캐털란트를 통해서만 위고비를 생산해 왔는데 2021년 캐털란트 생산시설에서 공정상 문제가 드러나 위고비 생산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었다.공급난에도 불구하고 노보
-
[특징주] 디알텍, 45조 삼성전자 신사업 디지털 엑스레이 美FDA 승인 낙점...주요 주품 독점 공급
삼성전자가 8년 만에 디지털 엑스레이 신제품을 선보이면서 45조 시장 선점에 나섰다. 디알텍이 관련 주요 부품을 납품한다는 소식에 강세다. 7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최근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고정형 디지털 엑스레이 'GF85'에 대한 의료기기 품목허가(510k)를 획득했다.기존 고정형 디지털 엑스레이인 '에이스 GC85A 비전플러스'와 비교해 GF85 시리즈는 바닥 고정형 제품이다. 주요 장비가 천장이 아닌 바닥에 설치됨에 따라 공간 활용도가 높다. 삼성전자가 바닥 고정형 디지털 엑스레이를 출시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저선량 지원은 물론 최신 인공지능(AI) 기능도 탑재했다. 흉부 엑스레이 영상 판독을 지원하는 '루닛 인사
-
엔지켐생명과학, 세계 최초 'EC-18' GI-ARS 치료 후보물질 효능 입증
글로벌 신약개발기업 엔지켐생명과학(대표이사 손기영, 183490)은 급성방사선증후군(ARS) 치료 후보물질 'EC-18'이 방사선 조사에 의한 위장관계 손상에 효능을 입증했다는 비임상 연구논문이 세계적 학술지인 미국 방사선연구학회 공식저널 Radiation Research(SCI급)에 등재됐다고 4일 밝혔다.급성방사선증후군은 고농도 방사선 노출에 의해 발생하는 전신질환으로 조혈계와 위장관계, 호흡계, 신경계 등에 심각한 손상을 입혀 사망에 이를 수 있다. 특히 위장관계 급성방사선증후군(GI-ARS)은 위장점막의 파괴로 영양분 흡수 불량, 장내 세균 및 감염원 체내 노출, 과도한 염증반응, 패혈증 등이 치명적인 증상으로 발생하며, 현재까지 전세계
-
[특징주]한주라이트메탈, 美 중국산 알루미늄 압출재 376% 덤핑 판정...알루미늄 매출 대부분 차지
한주라이트메탈이 강세다. 2일 미국이 중국산 알루미늄 압출재에 최고 376%에 달하는 덤핑 판정을 내렸다. 지난달 30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는 지난달 27일(현지시간) 한국산 등 14개국의 알루미늄 압출재 반덤핑 조사에 대한 최종 판정 결과를 발표했다.주요국의 덤핑 마진은 4.25∼376.85%(중국), 7.42∼82.03%(멕시코), 7.11∼39.54%(콜롬비아), 14.15∼41.84%(베트남) 등이다.한편, 한주라이트메탈은 매출의 대부분이 알루미늄에서 나오고 있다. 알루미늄 주물 주조업체로 알루미늄 소재의 자동차 부품과 해양 선박 부품을 생산 및 판매하고 있으며, 매출의 대부분이 알루미늄 자동차 부품(전기차 부품 포함)이 차지하고 있다
-
티움바이오, 경구용 면역항암제 TU2218 부분관해 확인 성공...임상 2상 첫 환자 투약
희귀난치성질환 치료제 연구개발 전문기업인 티움바이오(KOSDAQ: 321550)가 경구용 면역항암제 TU2218의 임상 2상의 첫 환자 투약을 개시했다고 2일 밝혔다.TU2218은 암의 진행, 전이, 면역회피 등과 밀접하게 관련 있는 TGF-β(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형질전환성장인자) 및 종양미세환경 내 신생 혈관 생성에 관여하여 면역세포의 종양침투율을 저해하는 VEGF(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혈관내피성장인자)가 면역항암제 활성을 방해하는 경로를 함께 차단하여 키트루다(Keytruda)와 같은 기존 면역관문억제제의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치료제다.티움바이오는 TU2218의 임상 1a상과 1b상에서 총 41명의 진행성 고형암 환
-
비큐AI, 금융·법률·의료 등 AI 학습·고도화용 18종 전문지식 데이터셋 상품 개발 完, 판매 개시
인공지능(AI) 데이터 통합 플랫폼 서비스 기업 비큐AI가 생성형 AI 데이터 플랫폼 서비스 RDPLINE(Real-time Data PipeLine)의 신규 상품 ‘전문지식 질의응답(QA) 데이터셋’의 판매를 개시한다고 30일 밝혔다.이번에 출시된 신규 상품은 생성형 AI 학습 및 고도화용 데이터셋이다. 소셜 Q&A 커뮤니티 ‘아하’에서 활동 중인 약 9500명의 전문가들이 제공한 높은 정확도의 답변을 기반으로 제작됐다. 비큐AI는 최근 ‘아하앤컴퍼니’와 데이터 공급 계약을 체결하며 다양한 분야의 대규모 고품질 전문지식 데이터셋을 성공적으로 확보한 바 있다. 아하앤컴퍼니는 해당 분야의 자격증을 보유한 전문가들만이 답변할 수 있는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
-
[특징주]뉴프렉스, 1800조원 시장 메타퀘스트 XR핵심부품 단독 공급
뉴프렉스가 초강세다. 메타퀘스트에 XR 핵심 부품을 단독 공급하고 있다는 소식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메타가 차세대 증강현실(AR) 스마트 안경 '오라이언' 시제품을 공개했다.페이스북의 모회사인 메타는 25일(현지시간) 연례 개발자 콘퍼런스 '커넥트 2024'에서 안경처럼 쓰는 AR 기계를 공개했다. 문자 메시지를 보내고 화상 통화를 하는 것은 물론 유튜브 영상도 시청할 수 있다. 한편 컨설팅기업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PwC)는 메타버스의 시장 규모를 오는 2030년 1820조로 전망한 가운데 뉴프렉스가 관련 핵심 부품을 공급하고 있다.글로벌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가 최근 발표한 XR시장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X
-
우리기술, 3000조원 세계최초 소형원전 전세계 승인...국내 유일 공급기업 초소형원전 설계 i-SMR 개발 참여
우리기술이 3000조원에 달하는 세계 최초 초소형원전에 대한 수출길이 열리면서 향후 사업에 날개를 달 것으로 전망된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원자력연구원과 한국수력원자력은 국내 최초 완전 피동형 소형모듈원전인 SMART100에 대한 표준설계인가를 원자력안전위원회로부터 획득했다. 표준설계인가란 동일한 설계의 발전용 원자로(원전)를 반복적으로 건설하고자 할 경우 인허가 기관이 원자로 및 관계 시설의 표준설계에 대해 종합적인 안전성을 심사해서 인허가를 주는 제도를 말한다.2012년 세계 최초로 표준설계인가를 획득한 소형모듈원전(SMR)인 SMART에서 원자로 출력 및 안전성 등을 향상시킨 SMART100은 이번 표준설계인가 획득과
-
지에스이, 9000조원 추정 한일 7광구 인근서 가스전 발견…가스사업 영위 부각 사업 탄력
지에스이가 9000조원에 달하는 한일 7광구 인근서 가스전이 발견됐다는 소식에 주목을 받고 있다. 27일 한 매체에 따르면 2005년 미국 우드로윌슨연구소는 7광구 일대 석유 매장량이 미국 내 매장량의 4.5배, 천연가스 매장량은 사우디아라비아 매장량의 10배가량 될 것으로 추산했다고 보도했다. 이 추산이 맞는다면 7광구 석유 매장량의 가치는 현재 유가(배럴당 70~80달러) 기준 9000조원에 달하는 규모다. 1995년 7광구 해역에서 불과 800여 m 떨어진 곳에서 천연가스 9200만배럴이 매장된 것으로 추정되는 중국의 ‘춘샤오 가스전’이 발견되기도 했다. 1978년 JDZ 협정을 체결한 한일 양국은 1987년 1차 탐사를 진행하고 광구 7개를 살폈지
-
[특징주] 비츠로테크, MS와 북미 1위 제너락 협력...전세계 유일 ITER 최종사업자 참여↑
비츠로테크가 강세다. 미국 원자력발전 1위 기업인 콘스텔레이션에너지는 AI 전력수요 급증에 38년만에 폐쇄된 원전을 재가동해 마이크로 소프트(MS)에 공급할 예정이다라는 소식에 매수세가 몰리고 있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MS는 "펜실베이니아주의 스리마일 원전에서 향후 20년간 전력을 구매하는 직접구매계약(PPA)을 콘스텔레이션에너지와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스리마일 원전은 1979년 노심 용융 사고로 2호기를 완전히 폐쇄했었다.MS는 미국 원자력발전 1위 기업인 콘스텔레이션에너지가 가동이 중단된 원전을 재가동해서 '무탄소' 배출 전력으로 데이터센터를 가동하게 된다.특히 AI 열풍과 함께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
-
[특징주] 디알텍, 삼성전자 X레이 美 FDA 승인...AI 디텍터 장착 ODM 단독 공급
삼성전자가 X선, 고정식에 대한 미국 FDA에 승인이 났다는 소식에 AI 디텍터 장착된 디지털 엑스레이를 ODM으로 단독 공급하는 디알텍이 주목받고 있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장치 분류 이름 '시스템, X선, 고정식' 장치 이름 'GF85(모델 GF85-3P, GF85-SP)' 에 대한 미국 FDA 승인을 얻었다. 한편 디알텍이 삼성전자에 인공지능(AI) 기술이 접목된 엑스레이(X-Ray) 기기를 제조업자개발생산(ODM) 방식으로 공급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삼성헬스케어는 최근 가로 460mm, 세로 1321mm 크기의 대면적 디텍터인 '롱 렝스 디텍터(Long Length Detector, 이하 LLD)'를 선보였다. 이 제품은 디알텍이 자사의 고성능 엑스레이 기기 'EXPD 1
-
[특징주] 한울반도체, 국내 최초 MLCC장비 독점...삼성전기 세계 최초 초소형 전고체 배터리 개발 성공
삼성전기가 세계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소형 전고체 배터리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상용화 단계에 돌입하면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를 대체하는 '게임 체인저'가 될 것으로 기대가 모아지면서 한울반도체가 주목 받고 있다. 국내최초 개발한 MLCC장비를 삼성전기데 독점공급하고 있다는 소식에 매수세가 몰리고 있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기는 지난달 산화물계 웨어러블용 소형 전고체 배터리를 세계 최초로 개발하고 최근 고객사와 시제품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 제품은 2026년 상반기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전고체 배터리는 '꿈의 배터리'라고 불린다. 기존 액체 형태 전해질 대신 고체를 사용해 에너지 밀도와 안정성이 높다.
-
[특징주]네온테크, 삼성 세계 최초 MLCC 활용 전고체 배터리 개발 전장용 MLCC 커터 단독 공급 ↑
삼성전기가 세계에서 처음으로 전고체 배터리 개발을 완료하고 시제품을 공급한다는 소식에 네온테크 등 관련주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23일 오전 9시 25분 현재 네온테크는 전날보다 5.45% 오른 2230원에 거래되고 있다.이날 관련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기는 지난달 산화물계 웨어러블용 소형 전고체 배터리를 세계 최초로 개발하고 최근 고객사와 시제품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 제품은 2026년 상반기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전고체 배터리는 '꿈의 배터리'라고 불린다. 기존 액체 형태 전해질 대신 고체를 사용해 에너지 밀도와 안정성이 높다.삼성전기가 이번에 개발을 완료한 웨어러블용 소형 전고체 배터리는 크기의 한계를 극복했다는
-
[특징주] 와이바이오로직스, 美 정부 위암 정복 황태현 교수 '캔서문샷' 이끈다...큐어에이아이와 CAR-T 개발
와이바이오로직스가 강세다. 20일 한국인 석학인 황태현 교수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행정부가 추진하는 암 정복 프로젝트 '캔서문샷(Cancer Moonshot)'의 위암 연구를 최초로 이끌게 됐다는 소식에 공동 연구를 하고 있는 와이바이오로직스가 주목을 받고 있다. 과학계에 따르면, 황태현 미국 메이오 클리닉의 플로리다 보건부 암 석좌 교수와 텍사스 의대 암센터, 펜실베이니아대 공동 연구진이 캔서문샷 프로젝트의 위암 연구를주도한다. 캔서문샷 프로젝트 책임자로 한국인 연구자가 선정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캔서문샷은 바이든 대통령이 암 연구와 치료 혁신을 가속하기 위해 2016년 출범한 국가적 프로젝트다. 케네디 대통령이 국력을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