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
티움바이오, 경구용 면역항암제 TU2218 부분관해 확인 성공...임상 2상 첫 환자 투약
희귀난치성질환 치료제 연구개발 전문기업인 티움바이오(KOSDAQ: 321550)가 경구용 면역항암제 TU2218의 임상 2상의 첫 환자 투약을 개시했다고 2일 밝혔다.TU2218은 암의 진행, 전이, 면역회피 등과 밀접하게 관련 있는 TGF-β(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형질전환성장인자) 및 종양미세환경 내 신생 혈관 생성에 관여하여 면역세포의 종양침투율을 저해하는 VEGF(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혈관내피성장인자)가 면역항암제 활성을 방해하는 경로를 함께 차단하여 키트루다(Keytruda)와 같은 기존 면역관문억제제의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치료제다.티움바이오는 TU2218의 임상 1a상과 1b상에서 총 41명의 진행성 고형암 환
-
비큐AI, 금융·법률·의료 등 AI 학습·고도화용 18종 전문지식 데이터셋 상품 개발 完, 판매 개시
인공지능(AI) 데이터 통합 플랫폼 서비스 기업 비큐AI가 생성형 AI 데이터 플랫폼 서비스 RDPLINE(Real-time Data PipeLine)의 신규 상품 ‘전문지식 질의응답(QA) 데이터셋’의 판매를 개시한다고 30일 밝혔다.이번에 출시된 신규 상품은 생성형 AI 학습 및 고도화용 데이터셋이다. 소셜 Q&A 커뮤니티 ‘아하’에서 활동 중인 약 9500명의 전문가들이 제공한 높은 정확도의 답변을 기반으로 제작됐다. 비큐AI는 최근 ‘아하앤컴퍼니’와 데이터 공급 계약을 체결하며 다양한 분야의 대규모 고품질 전문지식 데이터셋을 성공적으로 확보한 바 있다. 아하앤컴퍼니는 해당 분야의 자격증을 보유한 전문가들만이 답변할 수 있는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
-
[특징주]뉴프렉스, 1800조원 시장 메타퀘스트 XR핵심부품 단독 공급
뉴프렉스가 초강세다. 메타퀘스트에 XR 핵심 부품을 단독 공급하고 있다는 소식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메타가 차세대 증강현실(AR) 스마트 안경 '오라이언' 시제품을 공개했다.페이스북의 모회사인 메타는 25일(현지시간) 연례 개발자 콘퍼런스 '커넥트 2024'에서 안경처럼 쓰는 AR 기계를 공개했다. 문자 메시지를 보내고 화상 통화를 하는 것은 물론 유튜브 영상도 시청할 수 있다. 한편 컨설팅기업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PwC)는 메타버스의 시장 규모를 오는 2030년 1820조로 전망한 가운데 뉴프렉스가 관련 핵심 부품을 공급하고 있다.글로벌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가 최근 발표한 XR시장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X
-
우리기술, 3000조원 세계최초 소형원전 전세계 승인...국내 유일 공급기업 초소형원전 설계 i-SMR 개발 참여
우리기술이 3000조원에 달하는 세계 최초 초소형원전에 대한 수출길이 열리면서 향후 사업에 날개를 달 것으로 전망된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원자력연구원과 한국수력원자력은 국내 최초 완전 피동형 소형모듈원전인 SMART100에 대한 표준설계인가를 원자력안전위원회로부터 획득했다. 표준설계인가란 동일한 설계의 발전용 원자로(원전)를 반복적으로 건설하고자 할 경우 인허가 기관이 원자로 및 관계 시설의 표준설계에 대해 종합적인 안전성을 심사해서 인허가를 주는 제도를 말한다.2012년 세계 최초로 표준설계인가를 획득한 소형모듈원전(SMR)인 SMART에서 원자로 출력 및 안전성 등을 향상시킨 SMART100은 이번 표준설계인가 획득과
-
지에스이, 9000조원 추정 한일 7광구 인근서 가스전 발견…가스사업 영위 부각 사업 탄력
지에스이가 9000조원에 달하는 한일 7광구 인근서 가스전이 발견됐다는 소식에 주목을 받고 있다. 27일 한 매체에 따르면 2005년 미국 우드로윌슨연구소는 7광구 일대 석유 매장량이 미국 내 매장량의 4.5배, 천연가스 매장량은 사우디아라비아 매장량의 10배가량 될 것으로 추산했다고 보도했다. 이 추산이 맞는다면 7광구 석유 매장량의 가치는 현재 유가(배럴당 70~80달러) 기준 9000조원에 달하는 규모다. 1995년 7광구 해역에서 불과 800여 m 떨어진 곳에서 천연가스 9200만배럴이 매장된 것으로 추정되는 중국의 ‘춘샤오 가스전’이 발견되기도 했다. 1978년 JDZ 협정을 체결한 한일 양국은 1987년 1차 탐사를 진행하고 광구 7개를 살폈지
-
[특징주] 비츠로테크, MS와 북미 1위 제너락 협력...전세계 유일 ITER 최종사업자 참여↑
비츠로테크가 강세다. 미국 원자력발전 1위 기업인 콘스텔레이션에너지는 AI 전력수요 급증에 38년만에 폐쇄된 원전을 재가동해 마이크로 소프트(MS)에 공급할 예정이다라는 소식에 매수세가 몰리고 있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MS는 "펜실베이니아주의 스리마일 원전에서 향후 20년간 전력을 구매하는 직접구매계약(PPA)을 콘스텔레이션에너지와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스리마일 원전은 1979년 노심 용융 사고로 2호기를 완전히 폐쇄했었다.MS는 미국 원자력발전 1위 기업인 콘스텔레이션에너지가 가동이 중단된 원전을 재가동해서 '무탄소' 배출 전력으로 데이터센터를 가동하게 된다.특히 AI 열풍과 함께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
-
[특징주] 디알텍, 삼성전자 X레이 美 FDA 승인...AI 디텍터 장착 ODM 단독 공급
삼성전자가 X선, 고정식에 대한 미국 FDA에 승인이 났다는 소식에 AI 디텍터 장착된 디지털 엑스레이를 ODM으로 단독 공급하는 디알텍이 주목받고 있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장치 분류 이름 '시스템, X선, 고정식' 장치 이름 'GF85(모델 GF85-3P, GF85-SP)' 에 대한 미국 FDA 승인을 얻었다. 한편 디알텍이 삼성전자에 인공지능(AI) 기술이 접목된 엑스레이(X-Ray) 기기를 제조업자개발생산(ODM) 방식으로 공급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삼성헬스케어는 최근 가로 460mm, 세로 1321mm 크기의 대면적 디텍터인 '롱 렝스 디텍터(Long Length Detector, 이하 LLD)'를 선보였다. 이 제품은 디알텍이 자사의 고성능 엑스레이 기기 'EXPD 1
-
[특징주] 한울반도체, 국내 최초 MLCC장비 독점...삼성전기 세계 최초 초소형 전고체 배터리 개발 성공
삼성전기가 세계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소형 전고체 배터리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상용화 단계에 돌입하면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를 대체하는 '게임 체인저'가 될 것으로 기대가 모아지면서 한울반도체가 주목 받고 있다. 국내최초 개발한 MLCC장비를 삼성전기데 독점공급하고 있다는 소식에 매수세가 몰리고 있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기는 지난달 산화물계 웨어러블용 소형 전고체 배터리를 세계 최초로 개발하고 최근 고객사와 시제품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 제품은 2026년 상반기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전고체 배터리는 '꿈의 배터리'라고 불린다. 기존 액체 형태 전해질 대신 고체를 사용해 에너지 밀도와 안정성이 높다.
-
[특징주]네온테크, 삼성 세계 최초 MLCC 활용 전고체 배터리 개발 전장용 MLCC 커터 단독 공급 ↑
삼성전기가 세계에서 처음으로 전고체 배터리 개발을 완료하고 시제품을 공급한다는 소식에 네온테크 등 관련주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23일 오전 9시 25분 현재 네온테크는 전날보다 5.45% 오른 2230원에 거래되고 있다.이날 관련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기는 지난달 산화물계 웨어러블용 소형 전고체 배터리를 세계 최초로 개발하고 최근 고객사와 시제품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 제품은 2026년 상반기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전고체 배터리는 '꿈의 배터리'라고 불린다. 기존 액체 형태 전해질 대신 고체를 사용해 에너지 밀도와 안정성이 높다.삼성전기가 이번에 개발을 완료한 웨어러블용 소형 전고체 배터리는 크기의 한계를 극복했다는
-
[특징주] 와이바이오로직스, 美 정부 위암 정복 황태현 교수 '캔서문샷' 이끈다...큐어에이아이와 CAR-T 개발
와이바이오로직스가 강세다. 20일 한국인 석학인 황태현 교수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행정부가 추진하는 암 정복 프로젝트 '캔서문샷(Cancer Moonshot)'의 위암 연구를 최초로 이끌게 됐다는 소식에 공동 연구를 하고 있는 와이바이오로직스가 주목을 받고 있다. 과학계에 따르면, 황태현 미국 메이오 클리닉의 플로리다 보건부 암 석좌 교수와 텍사스 의대 암센터, 펜실베이니아대 공동 연구진이 캔서문샷 프로젝트의 위암 연구를주도한다. 캔서문샷 프로젝트 책임자로 한국인 연구자가 선정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캔서문샷은 바이든 대통령이 암 연구와 치료 혁신을 가속하기 위해 2016년 출범한 국가적 프로젝트다. 케네디 대통령이 국력을
-
[특징주] 엔피디, 삼성 베트남에 2.4조 투자 검토 소식에 실적 수혜 기대 상승
삼성디스플레이가 베트남 건설사업에 18억 달러(약2.4조원)를 투자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소식에 엔피디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20일 외신 등에 따르면 삼성디스플레이는 베트남에 18억 달러를 투자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앞서 한 매체는 삼성 베트남이 현지에 패키징 공장 설립 추진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보도했다.현지에는 삼성전자 휴대폰과 삼성디스플레이 등의 대규모 라인이 있는 만큼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전략이라는 분석이다.앞서 지난달 초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방한한 베트남 권력 서열 3위인 팜 민 찐 총리와 면담을 가졌다.이 자리에서 이 회장은 "베트남 최대의 외국인 투자자이
-
[특징주]다원시스, 1초로 암치료 양성자 치료 '게임체인저'...'꿈의 암치료' 붕소중성자포혹치료 개발
양성자 치료기기를 도입했던 삼성서울병원이 고선량 방사선 치료법인 ‘플래시 기술’로방사선치료의 신기원을 열기 위한 새 도전에 나서면서 다원시스가 주목받고 있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플래시는 초당 40그레이(Gy) 이상의 고선량 방사선을 1초 미만 ‘찰나의 순간’에 집중적으로 조사하는 치료법으로 방사선을 이용한 암 치료 수준을 획기적으로 끌어올릴 미래 기술로 꼽히고 있다. 양성자 치료는 빛의 속도에 가까운 양성자빔을이용, 암세포만 정밀하게 타격하고 주변 정상 세포를 파괴하지 않는 게 특징으로 알려져 있다. 플래시 기술이 적용되면 암 타격 능력은 유지하면서도 방사선에 노출되는 시간이 짧아져 보호 효과를 극대화 할 수
-
씨어스테크놀로지, 200조원 시장 웨어러블 심전계 압도적 독과점 지위 확보...AI활용 고도화 성공
씨어스테크놀로지가 200조원 규모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웨어러블 시장에서 심전계 부분에서 압도적인 독과점적 지위를 형성하면서 성장을 이어나가고 있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웨어러블 의료기기 시장 규모는 2022년 349억 달러에서 2032년까지 1,560억 달러(약 200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2023년부터 2032년까지 예측기간동안 연평균 16.6%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인구 고령화와 만성질환의 증가는 웨어러블 의료기기 시장의 성장을 촉진시키고 있다. 만성질환과 생활습관병의 유병율 증가에 따른 비용 부담의 증가로 인해서 각국의 정부, 의료기관은 환자의 시기적절하고 일상적인 진단에 점점 더 중점을 두고 있는
-
나스미디어, KT 최대주주 현대차그룹 변경...KT가 지분 44.1% 보유 신성장 동력 현대차 그룹 되나
KT의 최대주주가 현대차그룹으로 변경되면서 나스미디어가 주목 받고 있다. KT가 지분 44.1%를 보유한 자회사로 이번에 현대차그룹이 새롭게 KT의 최대주주에 올라서면서 새로운 성장동력이 생길 것으로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19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KT가 지난 4월19일 신청한 최대 주주 변경 건에 대한 공익성심사위원회 심사 결과, 현대차로 최대 주주 변경이 공공의 이익을 해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했다고 밝혔다.이번 공익성 심사를 통해 현대차는 KT의 1대 주주로 올라섰다.앞서 기존 최대주주였던 국민연금공단이 지난 3월 보유주식 일부를 매각하면서 현대차는 추가 주식 취득 없이 비자발적으로 KT의 최대 주주가
-
나무가, 삼성과 빌 게이츠가 찜한 회사 '루모티브'와 로봇 및 자율주행 기술 공동 개발 협력 주목
나무가가 삼성과 MS의 창업자 빌 게이츠가 공동으로 투자한 미국 라이다용 칩 회사인 루모티브와 공동 기술 개발에 나서면서 주목받고 있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2022년 삼성의 벤처캐피탈 '삼성벤처투자'가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 빌 게이츠와 미국 라이다(LiDAR)용 반도체 개발 업체 '루모티브'(Lumotive)에 투자했다. 자율주행차와 로봇 등에서 채택이 늘고 있는 라이다 시장의 성장성에 주목에 투자를 단행한 것으로 보인다.이후 삼성은 2023년에도 추가투자를 단행하면서 일찌감치 루모티브의 기술력을 높히 평가한 바 있다. 루모티브의 투자에는 삼성 이외에도 빌 게이츠와 태국 하이맥스 테크놀로지, 스위스 콴 펀드, 미국 메타VC
-
[특징주]리메드, 45조원 시장 비만치료제 전자약 효과 90% 이상 입증...한국전기연구원 전자약 공동 개발
리메드가 강세다. 45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되는 전자약 시장에서 비만치료제도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한국전기연구원이 관련 개발에 나서고 있다는 소식이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 리메드는 한국전기연구원과 전자약 공동 개발에 나서고 있다. 19일 한 매체에 따르면 100g도 채 되지 않는 회색 두건을 둘러쓰게 하고, 1회당 20분씩 2mA(밀리암페어)의 약한 전류를 흘려 보내는 등 정부 출연(出捐) 연구 기관인 한국전기연구원이 식욕 억제 연구의 임상을 진행하고 있다. 실제로 두뇌 피질의 자극을 받은 29명 중 27명이 식욕이 줄었다고 답했다. 전류나 자기장 등 에너지로 뇌, 신경을 자극해 치료 효과를 내는 전자약이 다양한 분야
-
[특징주] 시너지이노베이션, 비만치료제 게임체인저 '티솔라질린' 임상2a 식약처 승인...美 FDA 승인 진행
시노지이노베이션이 강세다. 자회사인 뉴로바이오젠이 ‘티솔라질린(Tisolagiline, 물질명: KDS2010)’의 알츠하이머 치매 및 비만 적응증 치료제 임상 2a상에 대한 임상시험계획(IND)을 식약처로부터 승인받았다고 소식에 영향을 바은 것으로 풀이된다 .19일 한 매체에 따르면 티솔라질린은 현재 FDA에 알츠하이머 치매 및 비만적응증 임상 2a상 IND승인을 위한 Pre-IND작업 및 심사도 진행 중에 있다. 한국에 이어 미국에서 차례로 임상시험을 진행할 예정이다. 뉴로바이오젠에 따르면 티솔라질린은 질병조절치료제(disease modifying drug)로서 근본적인 질병 치료가 가능한 혁신적인 ‘best-in-class’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또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