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vestment
-
코스피 3,700 돌파 이끈 '머니무브'...현시점에서 점검할 투자전략
미중 갈등 속에서도 코스피가 사상 최고치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정부의 부동산 대책과 AI 열풍, 유동성 기대감이 맞물리면서 '머니 무브(Money Move, 부동산→금융자산)' 흐름이 본격화하고 있다는 분석이다.신한투자증권 강진혁 애널리스트는 17일 발간한 마켓 리뷰에서 "생산적 금융으로의 머니무브가 진행 중이며, 혁신기업이라는 양화(良貨) 육성과 부실기업이라는 악화(惡貨) 구축이 한국 증시의 밸류 리레이팅을 촉진할 것"이라고 전망했다.실제로 이번주 코스피는 미국의 중국 입항세 부과와 한화오션 자회사 제재, 트럼프의 중국 식용유 거래 중단 검토 발언 등 악재에도 불구하고 3,700선을 돌파했다. 시장은 이를 'TACO trade'로 인식
-
[16일 마감]파죽의 코스피, 3,700선도 돌파...반도체·자동차 동반 강세
16일 국내 증시가 7거래일 만에 3,500선에서 3,700선을 연달아 돌파하며 신고가 행진을 이어갔다.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2.49% 급등한 3,748.37로 장을 마감했으며, 코스닥은 0.08% 오른 865.41에 거래를 마쳤다.증시 급등의 배경에는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의 발언이 있었다. 베센트 장관은 전날 AI 산업을 버블이 아닌 투자 초기 단계로 규정하며 AI 기대감이 지속될 것임을 시사했다. 여기에 블랙록 투자 컨소시엄이 400억 달러 규모의 AI 데이터센터 인수를 결정하면서 반도체 투자심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삼성전자는 2.8%, SK하이닉스는 7.1% 급등하며 또다시 신고가를 경신했다. 반도체 업종은 3.4% 상승하며 지수 상승을 견
-
삼성생명, 3분기 어닝 서프라이즈 예상...but "현재 주가엔 과도한 기대 반영"
삼성생명의 3분기 실적이 시장 기대치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현재 주가에는 지분가치 증가를 넘어선 과도한 기대가 반영돼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한화투자증권은 16일 발간한 삼성생명 기업분석 보고서에서 투자의견 'Hold(보유)'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기존 12만5,000원에서 14만8,000원으로 18.4% 상향 조정했다.한화투자증권은 삼성생명의 3분기 연결 지배주주 순이익이 7,562억원(전년 동기 대비 +12%)으로 컨센서스를 15% 상회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일회성 부동산 매각익을 제외하면 시장 기대를 11% 하회하는 수준이다.김도하 한화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보험손익은 예실차 적자에 의해 부진할 전망"이라며 "투자손익은 을지로
-
"원화 약세·재정적자 확대...한국형 'Debasement Trade' 전략 필요"
금과 은, 비트코인 등 대부분의 금융자산과 실물자산 가격이 동반 상승하는 'Everything Rally'가 가속화되고 있다. 이면에는 세계 각국의 재정적자 확대와 완화적 통화정책으로 인한 법정 화폐에 대한 신뢰성 감소가 자리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신한투자증권은 16일 발간한 국내 주식전략 보고서에서 "Everything Rally 이면에는 법정 화폐에 대한 신뢰성 감소가 있다"며 "특히 한국은 낮은 인플레이션 상황에서도 원화 약세, 재정적자 확대, 통화 완화가 동반하는 구도여서 포트폴리오 다변화가 더욱 필요한 시점"이라고 밝혔다.세계 주식, 나스닥, 금, 은, 농산물, 구리, 비트코인 등 대부분 자산 가격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금과
-
LS ELECTRIC, 3분기 영업이익 1,100억원 전망..."북미 성장 본격화"
LS ELECTRIC의 3분기 실적이 시장 기대치에 부합하며 북미 중심의 성장세가 본격화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관세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전력인프라 부문의 북미 지역 매출 성장이 두드러지며 중장기 고성장 흐름이 지속될 것이란 전망이다. 키움증권은 16일 발간한 LS ELECTRIC 3분기 실적 전망 보고서에서 투자의견 '매수(BUY)'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기존 25만원에서 37만원으로 상향 조정했다.키움증권은 LS ELECTRIC의 3분기 매출액을 1조 2,061억원(전년 동기 대비 +18.1%), 영업이익을 1,100억원(전년 동기 대비 +65.5%, 영업이익률 9.1%)으로 전망했다. 이는 시장 기대치에 부합하는 수준이다. 이한결 키움증권 애널리스트는 "이번 분
-
"미·중 갈등 APEC 전까지 계속될 듯...AI 섹터 조정 시 매수 기회"
미국과 중국의 무역 갈등이 재점화되면서 중국 주식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중기적 투자 매력은 여전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신한투자증권은 16일 발간한 중국 주식전략 보고서에서 "미·중 갈등이 10월 말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전까지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면서도 "AI 사이클과 위험자산으로의 머니무브에 기반한 중기적 낙관 경로는 훼손되지 않았다"고 밝혔다.희토류 통제로 시작된 갈등...한화오션 제재까지미·중 갈등의 발단은 지난 10월 9일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 강화 조치였다. 중국은 희토류 수출 시 정부 허가를 의무화하며 첨단산업의 핵심 소재를 전략자산으로 관리하겠다는 의도를 드러냈다
-
하나금융, 100조원 '모두 성장 프로젝트' 가동..."생산적 금융으로 대전환"
하나금융그룹(회장 함영주)이 한국 경제의 새로운 도약을 위해 대규모 금융 지원에 나섰다. 부동산 중심의 전통적 수익 모델에서 벗어나 국가 미래 성장 동력 확보와 민생 안정을 동시에 추구하겠다는 전략이다.하나금융그룹은 16일 은행·증권·카드·캐피탈·보험·자산운용·벤처캐피탈 등 전 관계사가 참여하는 '경제성장전략 TF'를 출범하고, 2030년까지 5년간 100조원 규모의 '하나 모두 성장 프로젝트'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는 생산적 금융 84조원과 포용금융 16조원으로 구성된다.함영주 하나금융그룹 회장은 "이번 프로젝트는 단순한 숫자를 넘어 하나금융그룹의 진심을 담은 약속"이라며 "그동안 손쉽게 수익을 내왔던 기존 방식을
-
[15일 시황]코스피, 2.68% 급등...파월 발언에 사상 최고가
15일 국내 증시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파월 의장의 비둘기파적 발언에 힘입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95.74포인트(2.68%) 오른 3,657.28에 거래를 마쳤으며, 코스닥도 16.74포인트(1.98%) 상승한 864.72를 기록했다.이날 증시는 전날 중국의 한화오션 자회사 제재 발표와 트럼프 전 대통령의 중국산 식용유 거래 중단 검토 발언 등 미중 갈등 악재에도 불구하고 강한 반등세를 보였다. 시장에서는 중국의 제재 대상 기업들이 중국과의 사업 연관성이 낮아 실질적 영향이 제한적일 것이란 해석이 우세했다.무엇보다 간밤 파월 의장이 향후 몇 달 내 양적긴축(QT) 중단 가능성을 시사한 것이 투자심리를 자극했다. 이
-
삼성바이오로직스, 3분기 영업이익 5,724억원…변경상장 후 전략
삼성바이오로직스가 3분기에도 견조한 실적을 이어가며 시장 기대치를 웃돌 것으로 전망된다. 5공장 가동에 따른 비용 증가에도 불구하고 4공장 풀가동으로 이를 상쇄하며 영업이익률 47.6%를 달성할 것으로 예상된다.15일 DS투자증권은 삼성바이오로직스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130만원을 유지했다. 3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약 1조2,035억원(전년 동기 대비 12.8% 증가), 영업이익 약 5,724억원(28.7% 증가, 영업이익률 47.6%)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이는 컨센서스 매출액 약 1조2,032억원과 영업이익 약 5,606억원 중 영업이익이 시장 기대치를 2.1% 상회하는 수준이다. 2분기 평균 약 1,401원/달러 대비 3분기 약 1
-
증권업계 3분기 '또 깜짝 실적'…순이익 1.5조원 컨센서스 10% 상회
증권업계가 3분기에도 시장 기대를 뛰어넘는 호실적을 거둘 것으로 전망된다. 14일 대신증권은 증권업종에 대해 투자의견 '비중확대'를 유지하고, 커버리지 5개사의 3분기 합산 순이익이 1조5,125억원으로 컨센서스 1조3,705억원을 10.4% 상회할 것으로 전망했다.대신증권에 따르면 3분기 증권사들의 실적은 전 부문에서 골고루 양호한 성과를 거뒀다. 2분기 정점을 기록했던 거래대금이 7월부터 감소세로 전환하며 피크아웃에 대한 우려가 있었으나, 대주주 양도세 기준이 50억원으로 원상복구되면서 9월부터 다시 증가했다. 일평균 거래대금은 25조8천억원으로 2분기 23조6천억원보다 오히려 증가했다.특히 IB 부문의 호조가 눈에 띈다. 부동산
-
네오위즈, 3분기 영업이익 291억원…컨센서스 2배 '깜짝 실적'
게임업체 네오위즈가 3분기 역대 최대 분기 실적을 기록하며 시장 기대치를 크게 웃돌 것으로 전망된다. 15일 유진투자증권은 네오위즈에 대해 투자의견 'BUY'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기존 3만원에서 3만5천원으로 16.7% 상향 조정했다.유진투자증권은 네오위즈의 3분기 매출액이 1,20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0% 증가하고, 영업이익은 291억원으로 전년 대비 350% 급증할 것으로 전망했다. 영업이익 291억원은 시장 컨센서스인 128억원을 2배 이상 상회하는 수치다. 이번 어닝 서프라이즈의 주역은 PC/콘솔 부문이다. 6월 출시된 'P의 거짓' DLC 판매 효과에 더해, 8월 플레이스테이션 플러스에 등록되면서 발생한 로열티 수익이 실적에 반영됐
-
[14일 시황]사상 최고치 경신한 코스피, 혼조세 마감
14일 국내 증시는 AI 관련 호재와 삼성전자의 깜짝 실적에 힘입어 장중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으나, 미중 갈등 재부각으로 상승분을 반납하며 혼조세로 마감했다.이날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0.63% 하락한 3,561.81로, 코스닥은 1.46% 내린 847.96으로 장을 마감했다. 코스피는 장중 3,600포인트에 근접하며 사상 최고가를 달성했으나 오후 들어 낙폭을 키웠다. 전날 밤 미중 정상회담에 대한 낙관론과 함께 AI 관련 대규모 계약 소식이 시장 심리를 끌어올렸다. 블룸에너지는 브룩필드운용과 50억 달러 규모의 파트너십을 체결하며 26.5% 급등했고, OpenAI는 브로드컴과 10GW 규모의 칩 계약을 맺으며 브로드컴 주가를 9.9% 끌어올렸다.개장 전
-
KT&G, 3분기 영업이익 4,570억원 전망... 시장 예상 뛰어넘을 듯
KT&G가 3분기 실적에서 시장 예상을 뛰어넘는 호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화투자증권은 14일 발간한 리포트에서 KT&G의 3분기 연결 매출액을 1조8,007억원(전년 동기 대비 10.0% 증가, 전분기 대비 16.3% 증가), 영업이익을 4,570억원(전년 동기 대비 9.4% 증가, 전분기 대비 30.6% 증가)으로 전망하며 시장 컨센서스 영업이익 4,333억원을 상회할 것으로 예상했다. 국내 궐련 부문은 시장점유율이 전분기 대비 0.7%포인트 확대되고 10월 명절 연휴 이전 가수요가 발생한 영향으로 매출액이 성장세로 전환(전년 동기 대비 1.7%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 해외 궐련은 신규 시장 진입 및 유통 커버리지 확대로 평균 판매가격(ASP)과 수량
-
삼성전자, 3분기 영업이익 12.1조원 '깜짝 실적'...다시 보는 '삼전'
삼성전자가 3분기 메모리 반도체 호황에 힘입어 시장 예상을 뛰어넘는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 인공지능(AI) 수요 확대로 DRAM 공급 부족이 심화되면서 HBM 가격 협상에도 우호적 환경이 조성되고 있어 향후 실적 개선 전망이 더욱 밝아졌다는 분석이다.삼성전자는 14일 3분기 잠정 실적을 발표하며 매출액 86조원(전분기 대비 15% 증가), 영업이익 12조1천억원(전분기 대비 156% 증가)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SK증권 전망치를 15%, 시장 컨센서스를 18% 상회하는 수치다.사업부문별로는 DS(디바이스솔루션) 부문이 7조1천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전체 실적을 견인했다. 이 중 메모리 반도체는 7조7천억원의 영업이익을 냈으며, DRA
-
LG에너지솔루션, 'ESS 효과'로 3분기 깜짝 실적...다시 주목받는 이유
LG에너지솔루션이 에너지저장장치(ESS) 사업의 본격 성장에 힘입어 3분기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 미국 첨단제조생산세액공제(AMPC) 감소에도 불구하고 수익성을 개선하며 배터리 업계 침체 속 유일하게 흑자 기조를 이어가고 있어 주목된다.유진투자증권은 14일 발간한 리포트에서 LG에너지솔루션의 3분기 실적을 분석하며 투자의견 매수(BUY)와 목표주가 43만원을 유지했다. 회사는 3분기 매출액 5조7천억원(전분기 대비 2% 증가, 전년 대비 17% 감소), 영업이익 6,013억원(전분기 대비 22% 증가, 전년 대비 34% 증가)을 기록하며 증권가 추정치와 시장 컨센서스를 모두 웃도는 성과를 거뒀다.AMPC 세액공제를 제외한 순수 영업이익은 2,3
-
[13일 시황]코스피, 미·중 신경전 속 선방... 희토류·리튬 관련주 급등
13일 국내 증시가 미국과 중국 간 재개된 무역 갈등 여파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선방했다.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 조치가 오히려 국내 희귀금속 및 리튬 관련주에는 호재로 작용하며 강세를 보였다.이날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26.19포인트(0.72%) 하락한 3,584.55에 장을 마감했다. 코스닥은 1.01포인트(0.12%) 오른 860.49를 기록했다. 개인이 각각 1조 1,689억 원, 1,167억 원 순매수한 반면, 외국인과 기관은 매도 우위였다.강진혁 신한투자증권 선임연구원은 "최근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 조치에 트럼프 대통령이 미·중 정상회담 불참 및 대중국 100% 추가 관세 부과(11월 1일부터)를 언급하면서 변동성이 크게 확대됐다"고 설명했
-
[ETF 동향]금 ETF로 자금 몰려...미·중 갈등 재점화에 안전자산 선호
미국과 중국의 갈등 재점화 우려로 증시가 큰 폭 조정을 받는 가운데, 안전자산인 금 ETF로 자금이 집중되고 있다.키움증권은 13일 발간한 'ETF Weekly' 리포트를 통해 지난주 글로벌 ETF 시장 동향을 분석하며 이같이 밝혔다.지난주 미국 대표 지수 및 ETF는 일제히 하락 마감했다. SPY는 -2.4%, QQQ -2.3%, DIA -2.7%, IWM -3.3%를 기록했다. 정부 셧다운 속에서도 AI·반도체주 중심으로 상승 흐름을 이어가던 증시는 주 후반 미·중 갈등 재점화 우려를 빌미로 큰 폭 조정을 받았다.APEC 정상회담을 앞두고 중국은 희토류 수출 통제 강화와 미국 선박 수수료 인상 등을 발표했다. 이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과의 회담 취소 및 중국 수입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