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종로구 계동 현대건설 사옥 전경. [사진 = 현대건설]](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508291439100219348439a4874112222163195.jpg&nmt=29)
전 만기에서 마이너스 금리 달성
만기별 수요를 살펴보면, 2년물 700억원 모집에 3800억원, 3년물 700억원 모집에 5700억원, 5년물 600억원 모집에 1400억원의 주문이 각각 몰렸다. 특히 주목할 점은 희망 금리 밴드를 민간 채권평가사 평균금리 대비 -30bp에서 +30bp 수준으로 제시했음에도 불구하고, 모든 물량이 마이너스 금리로 발행됐다는 것이다. 2년물은 -11bp, 3년물과 5년물은 각각 -10bp의 금리로 목표 신고금액 2000억원을 모두 채웠다.
탄탄한 인수단 구성으로 리스크 분산
현대건설은 이번 채권 발행을 위해 KB증권, 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키움증권, 미래에셋증권, 하나증권, 대신증권 등 총 7곳을 공동 대표주관회사로 선정했다. 또한 메리츠증권, 한양증권, 현대차증권을 추가 인수단으로 구성해 투자자 모집 과정에서의 리스크를 효과적으로 분산시키는 전략을 구사했다.
건설업계 불확실성 속 돋보인 성과
이번 흥행은 최근 건설업 전반의 불확실성과 각종 규제 강화 우려로 건설업계에 대한 투자심리가 위축된 상황을 고려할 때 더욱 의미가 크다. 주관사 관계자는 "현대건설의 회사채 흥행은 건실한 재무안정성을 포함해 에너지 전환 사업에 대한 시장 평가, 우수한 대외 ESG 성과 등이 투자자들에게 긍정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평가했다.
친환경 프로젝트 자금으로 활용 예정
이형석 현대건설 재경본부장(CFO)은 "에너지 안보가 글로벌 중점 과제로 떠오른 가운데 현대건설은 원전, 태양광 등 에너지 전반의 핵심 사업을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개선 중"이라며 "이에 대한 시장의 우호적 평가를 토대로 녹색채권을 발행한 전략이 주효했다"고 강조했다.
지속적인 채권 발행 계획 밝혀
[글로벌에픽 안재후 CP / anjaehoo@naver.com]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