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농림어업총조사는 전국 모든 농림어가의 규모와 구조, 분포, 경영형태를 파악하는 5년주기 전수조사로 인터넷조사는 11월20일부터, 방문면접조사는 12월 1일에 시작할 예정이다.
이에 통계청은 2022년부터 센서스 통합관리시스템, 조사모집단및 공간정보의 구축․운영 등 조사 인프라를 체계화하였고, 3차례의 농림어업총조사 시험조사와 시범예행조사를 통해 조사항목의 타당성 검증하고 청내외 전문가와 농림어업총조사 자문위원회, 국가통계위원회 상정 등 논의를 거쳐 조사항목을 확정하는 등 조사 실시 전반에 대한 준비를 마쳤다.
금주기 농림어업총조사의 조사 항목은 지속가능한 농림어업 정책 수립을 위해 농산어촌의 기후변화(논벼 물관리), 영농기술 발달(스마트 농업), 인구구조 변화(국적, 외국인고용), 행정리 내 생활편의 시설의 변화(동물병원, 산부인과, 가족센터) 등 최근 농림어업과 농림어가의 구조 및 환경 변화를 반영하여 4종의 조사표(농림가, 해수면어가, 내수면어가, 지역)를 완성했다.
또한, 농림어업총조사 실시를 위해 인터넷조사 및 태블릿PC 면접조사용 전자조사표, 외국어 조사표(영어, 베트남어, 필리핀어, 중국어, 일본어), 조사지침서 등 조사설계를 마무리하고 있으며, 조사원의 현장조사를 위해 안전용품을 포함한 조사용품 준비, 자료입력용 태블릿PC와 센서스 통합관리시스템의 기능 테스트 등에도 철저한 준비를 하고 있다.
특히, 이번 농림어업총조사의 인터넷조사는 "농림어업총조사 대상 가구 귀하"로 우편발송 될 조사안내문을 참고하여 11월 20일부터응답자가 직접 인터넷으로 조사 가능하며, 본조사 시작 전까지 참여하지 않은 가구는 조사원이 가구를 방문하여 조사하게 된다. 인터넷조사 참여 응답자가 조사항목에 대한 궁금 사항이 있을경우 빠르고 편리하게 해결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 챗봇 기능, AI 기반24시간 콜센터도 운영할 계획이다.
더불어 조사원의 현장조사 수행 시 안전사고에 대한 교육 및 대응체계를 강화하고, 다양한 채널(TV, 라디오, SNS, 현수막, 포스터, 가로등 배너 등)을 통해 대국민 및 지역 특성별로 농림어업총조사 실시 및 조사원 모집에 대한 대대적인 홍보를 준비하고 있다.
안형준 통계청장은 "농림어업총조사는 농산어촌의 경쟁력 강화와 농산어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 수립에 꼭 필요한 매우 중요한 조사로 전국 농림어가의 적극적인 참여와 정확한 응답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글로벌에픽 오경희 CP / oughkh@naver.com]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