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Network

서울시, 도심 대기 미세플라스틱 수치 공원의 두배...'정원도시 서울' 조성 박차

2025-07-10 19:34:21

식물 잎 표면에서 검출된 폴리에틸렌(PE) 사진(서울시청 제공)이미지 확대보기
식물 잎 표면에서 검출된 폴리에틸렌(PE) 사진(서울시청 제공)
[글로벌에픽 오경희 CP] 서울시 대기 미세플라스틱 수치가 공원에 비해 두배가량 높다는 결과가 나왔다.

시는 분석을 통해 녹지가 대기 미세플라스틱 저감에 영향을 준다 보고 문 열고 나서면 5분 내 녹지를 만날 수 있는 ‘정원도시 서울’ 정책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고 10일 밝혔다.
앞서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의 올해 봄 대기 중 미세플라스틱 분석결과 공원(103개/㎥)의 1m3 당 미세플라스틱 개수가 서울 도심(238개/㎥) 대비 약 43.1%로 나타났으며 지난 겨울철('25년 2월) 1m3 당 공원의 대기 미세플라스틱 분석결과에서도 개수 114개/㎥, 도심 154개/㎥로 나타나 봄철에 비해 도심의 미세플라스틱 개수기 다소 적지만 여전히 ‘공원’이 도심 대비 73.6% 가량 낮게 분석됐다.

시는 연구원의 이번 분석에서 나무를 비롯한 식생의 대기질 정화, 플라스틱 오염원 유무 및 거리, 저온다습한 미기후(Microclimate) 등 효과로 도심 평균 대비 공원의 대기 중 미세플라스틱 개수가 적게 나온 것으로 보며 또한 한국조경학회지(구민아, 2019)에 게재된 ‘도시 근린공원 미세먼지 저감과 공간차폐율과의 관계’에서도 공원 중심은 입구와 비교해 온도는 1.05℃ 낮고, 미세먼지 감소율(PM2.5)은 17.65% 수준이라고 전했다.

연구원에 따르면 공원과 도심의 대기 중 미세플라스틱을 비교하기 위해 '25년 2월과 5월, 서울시 대기측정소 한 곳과 지난해 ‘서울시 더(THE) 맑은 공원 평가(연구원 주관)’에서 대기질이 가장 우수한 공원으로 선정된 서울대공원에 미세먼지 채취 장치를 각각 설치한 후 맑은 날 대기 시료를 채취해 유기물 제거 및 여과 등 전처리한 후 '21년 전국 시,도 보건환경연구원 중 최초 도입한 라만(Raman) 분광기를 활용, 머리카락 굵기의 1/50에 달하는 1㎛ 이상 미세플라스틱 개수 종류를 분석했다.
앞으로 연구원은 수도권 대기 중 미세플라스틱 문제 공동 대응을 위해 다른 유관기관 및 수도권 지자체와 함께 연구,관리 협의체를 구축하고 다양한 신규 사업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박주성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장은 “국내 지자체 중 처음으로 공원과 도심 대기 중 ‘1㎛ 이상 미세플라스틱’ 수준을 비교 분석한 결과, 녹지가 미세플라스틱 저감과 대기질 정화에 효과가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며, “앞으로도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유익한 환경 정보를 지속 분석, 제공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글로벌에픽 오경희 CP / oughkh@naver.com]
리스트바로가기

Pension Economy

epic-Who

epic-Company

epic-Money

epic-Life

epic-Highlight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