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화는 김 회장이 보유한 ㈜한화 지분 22.65%의 절반인 11.32%를 세 아들에게 증여했다고 31일 공시했다. 증여 지분은 김동관 부회장 4.86%, 김동원 사장 3.23%, 김동선 부사장 3.23%씩이다.
증여 후 그룹 지주사격인 ㈜한화의 지분율은 한화에너지 22.16%, 김 회장 11.33%, 김동관 부회장 9.77%, 김동원 사장 5.37%, 김동선 부사장 5.37% 등이 된다. 세 아들은 한화에너지의 지분 100%를 가진 상태라 이번 지분 증여로 세 아들의 ㈜한화 지분율은 42.67%가 돼 경영권 승계가 완료된다.
김 회장은 경영권 승계와 관련한 불필요한 오해를 해소하고, 한화그룹이 본연의 사업에 집중하도록 하기 위해 지분 증여를 결정했다고 한화그룹은 설명했다.
한화그룹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유럽 방산 블록화, 경쟁 방산업체들의 견제 등에 대응하기 위해 생존전략으로 유상증자를 결정했다"며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한화오션 지분 인수 역시 승계와 무관하고, 두 회사의 글로벌 육해공 방산 패키지 영업을 위한 전략적 조치였다"고 밝혔다.
거버넌스포럼, 김동관 부회장에 공개서한..."유증으로 4조2천억 손해"
같은 날 한국기업거버넌스포럼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3조6천억원 규모의 유상증자 계획을 발표해 일반주주에게 큰 피해를 끼쳤고, 한국 및 한국기업에 대한 국제 신뢰를 훼손했다"면서 대표이사인 김동관 부회장에게 유증의 이유를 밝혀달라고 요구했다.
이남우 한국기업거버넌스포럼 회장은 31일 김동관 부회장에게 보내는 공개 질의에서 한화에어로의 지난 20일 유증 발표 이후 시가총액이 28일 기준 4조2천억원이 증발했다면서 이같이 촉구했다. 그는 김 부회장이 30억원어치의 한화에어로 주식매수를 발표했지만 "이는 사라진 시총의 0.1%에도 못 미치는 규모"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그는 한화에어로가 향후 수조원에 달하는 영업현금흐름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대규모 주주가치 희석화를 부르는 유상증자를 추진한 이유를 물었다. 이 회장에 따르면 한화에어로는 2025년부터 3년 동안 매출은 65조원, 영업이익은 8조5천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때문에 유상증자를 하지 않고도 자체 현금흐름을 시설자금(1조2천억원)과 타법인 증권 취득자금(2조4천억원)에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이 회장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지난 10일 한화임팩트파트너스(5.0%)와 한화에너지(2.3%)가 보유한 한화오션[042660] 지분 7.3%를 약 1조3천억원에 매입한다고 발표한 것과 관련해서도 의문을 제기했다.
그는 "김 부회장이 50% 소유한 한화에너지와 이의 자회사인 한화임팩트가 1조3천억원의 한화오션 투자금을 회수할 수 있었던 2월 10일 이사회 의안과 3월 20일 유상증자 의안을 한화에어로 이사회에서 같은 날 논의하는 것이 투명성과 책임 측면에서 올바른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김 부회장 개인 회사인 한화에너지가 연관된 거래로서 강한 이해 상충 사안이므로 전체적으로 어떤 맥락에서 이루어진 것인지 이사회뿐만 아니라 주주들에게도 상세히 설명"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