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8년생인 그는 휘문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했고 미국 코넬대 경제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행정고시 수석 합격한 뒤 재정경제부, 청와대, 기획재정부, 금융위원회 등을 넘나들며 30여 년 넘게 공직에 몸담았고 퇴직 이후에는 사외이사로서 역할을 해오다 이번에 삼성전자 이사회 의장이 됐다.
신 의장은 금융∙재정 전문가로 한국경제가 고비가 있을 때 마다 소방수 역할을 해냈다. 2002년 재정경제부 국제금융과장 재직 당시 무디스와 S&P, 피치의 한국 신용등급 상향 조정에 기여했고 2003년 LG카드 사태 수습, 2005년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협상 때 금융 분야 한국 측 수석대표로 있으면서 개방폭을 축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에는 기획재정부 국제업무관리관(차관보)로 있으면서 300억달러 규모의 한미 통화스와프를 성사시켰고 이로 인해 한일, 한중 통화스와프도 맺을 수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2011년에는 금융위원회로 옮겨 부위원장으로 있으면서 저축은행 구조조정, 가계부채 대책 마련에 영향을 미쳤다.
2011년 9월 기획재정부 제1차관이 됐고 2013년부터 2015년까지 금융위원회 위원장을 지낸 국내 경제∙금융계에 한 획을 그은 장관급 경제관료인 것이다.
공직을 떠난 뒤에도 한국인 최초로 자금세탁방지기구(FATF) 의장직을 수행했고 2018년까지 외교부 국제금융협력대사로 임명되면서 국제 금융 전문가로 활약했다.
금융권과 일반 기업을 넘나들던 때 삼성전자는 그를 사외이사로 영입했고, 이번에 이사회 의장을 맡겼다.
신 의장은 삼성전자 이사회의 대표로서 이사회에 상정할 안건을 결정하고 이사회를 소집해 회의를 진행한다. 또 의장 권한으로 이사들 사이의 의견을 조정하고 결정하는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글로벌에픽 안재후 CP / anjaehoo@naver.com]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