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산담보대출은 기계, 설비, 재고자산 등 유동성이 높은 자산을 담보로 대출을 제공하여 중소기업의 자금 조달을 지원하는 제도다. 씨앤테크에 따르면, 이 제도는 부동산 자산이 부족한 중소기업의 성장 가능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으나, 동산의 특성상 관리가 어렵고 회수의 불확실성이 높아 활성화가 제한적인 상황이다.
씨앤테크는 이러한 동산담보대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IoT 기반 동산담보 관리 솔루션을 제공하며, 동산담보 관리의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씨앤테크의 솔루션은 저전력 IoT 디바이스를 통해 담보물의 위치, 가동률, 배터리 상태 등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며, 이를 웹·앱 플랫폼에서 데이터를 분석 및 처리한다. 또한, 24시간 365일 운영되는 관제센터는 플랫폼을 통해 담보물의 이상 상황을 신속히 확인하고 대응할 수 있다.
또한, AI 기반의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해 담보물을 등급화(A, B, C)하여 금융기관에 제공하고, 이를 통해 금융기관은 리스크가 높은 담보물을 집중 관리함으로써 대출 시장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씨앤테크는 2018년 동산담보 관리 서비스를 출시한 이후 IBK 기업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등 국내 주요 금융기관과 협력하며, 현재 약 2만 5천여 개의 동산담보를 관리하고 있다. 이를 통해 담보물의 부실률을 9.8%에서 2.8%로 낮췄으며, 현대캐피탈의 리스 자산 관리 분야에도 해당 솔루션을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씨앤테크는 올해 ‘2024 매경 핀테크 어워드 우수상’을 수상했으며, 지난해 11월에는 한국핀테크지원센터로부터 ‘K-Fintech 30’에 선정됐다.
씨앤테크 김기덕 대표는 “동산담보대출의 신뢰성을 강화하여 금융기관과 중소기업이 상생할 수 있는 생태계를 조성하겠다”며, “IoT와 AI 기반 솔루션을 통해 금융기관의 리스크를 줄이고, 중소기업의 자금조달을 지원하여 금융 시장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높이겠다”고 전했다.
한편, 씨앤테크는 최근 기업 부도율을 약 한 달 전 예측할 수 있는 기능의 고도화 작업을 진행 중이다. 해당 모델은 부도율이 낮은 기업에 신뢰도를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신용평가 방식을 제시하며, 금융기관과 기업 간 신뢰를 강화하는 데 기여할 예정이다. 현재 해당 AI 모델은 금융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검증 단계에 있으며, 지속적인 개선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수환 글로벌에픽 기자 lsh@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