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력 계열사인 은행을 중심으로 고금리 장기화 덕분에 역대 최대 실적 행진을 이어가는 가운데 소속 구성원들의 직업 안정성도 개선된 것으로 볼 수 있다.
3일 4대 금융그룹(KB·신한·하나·우리)이 발간한 지속가능경영보고서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보고서에 따르면, 이들 그룹의 지난해 총 이직률은 평균 7.6%로, 지난 2022년(9.0%)보다 1.4%포인트(p) 하락했다.
총 이직률은 전체 임직원 수 대비 이직 인원수를 나타낸 수치다.
지난해 4대 금융그룹의 전체 임직원 수가 8만6천298명으로 1년 전(8만6천580명)보다 0.3% 감소한 점을 고려하면 이직 인원수는 더 큰 폭으로 줄어든 셈이다.
회사별로 보면, KB금융의 총 이직률은 2022년 6.3%에서 지난해 5.5%로 하락해 업계에서 가장 낮은 이직률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하나금융은 13.9%에서 9.8%, 우리금융은 9.1%에서 7.1%로 각각 떨어졌고, 신한금융만 6.5%에서 8.0%로 상승했다.
희망퇴직, 계약만료, 해고 등을 제외하고 본인 희망에 의한 이직만을 나타내는 자발적 이직률 역시 2022년 6.2%에서 지난해 5.3%로 0.9%p 하락했다.
신한금융 관계자는 "희망퇴직이 늘면서 총 이직률이 올랐고, 이직자 수가 소폭 증가한 가운데 신규 채용이 더디게 늘어 자발적 이직률도 상승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일시적인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금융그룹들의 근속연수는 평균 14.6년에서 14.9년으로 4개월 가까이 늘어났다.
한 금융그룹 관계자는 "여러 계열사 데이터가 섞여 있어서 이직률 하락 배경을 단순 요약하기는 어렵다"면서도 "수치만 놓고 보면 업계 전반적으로 안정성이 다소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NH농협금융그룹의 경우 이달 말 ESG 경영보고서를 공시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유창규 글로벌에픽 기자 yck@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