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한 매체에 따르면 비씨엔씨는 국내 업계가 주로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반도체 소재를 국산화하고, 반도체 부품을 국내외 글로벌 반도체 제조사 및 장비사에 공급하고 있다. 특히 합성쿼츠(QD9+), 실리콘(SD9+P, SD9+S) 및 보론카바이드(CD9) 등 식각공정에 사용되는 주요 소재를 모두 국산화해 부품생산까지 수직계열화한 세계 유일 기업이라고 보도했다.
특히 합성쿼츠 QD9+는 글로벌 반도체 업계에서 큰 관심을 받고 있으며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의 러브콜을 받고 있다.
비씨엔씨가 세계 최초로 개발한 합성쿼츠 QD9+는 현재 업계가 주로 사용하고 있는 천연쿼츠 부품에 비해 수명주기가 연장됐으며, 불순물과 기포에 의한 파티클 발생(오염)이 없는 장점이 있다.
현재 글로벌 반도체 업계는 초미세화 경쟁이 심화함에 따라 적합도가 높은 합성쿼츠 QD9+에 대한 국내외 관심이 높다. 15나노 이하 하이디바이스 메모리를 사용해 고대역폭 메모리(HBM) 시장을 리드하고 있는 반도체 업체 등에서 합성쿼츠 QD9+ 소재 부품의 사용량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비씨엔씨는 합성쿼츠 QD9+와 관련 △다수 지식재산권 확보 △글로벌 강소기업 △신기술(NET) 및 세계일류상품 등 다양한 정부 인증을 획득했다.
비씨엔씨는 현재 화학기상증착법(CVD-SiC) 대체 소재 CD9을 개발해 최초로 양산 퀄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는 반도체의 초 고단화에 대응할 수 있는 신소재로 200단 이상 낸드플래시 메모리 식각공정에 장점이 있어 향후 대체 소재로써 사용도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비씨엔씨는 현재 인텔, 마이크론, TSMC 등 주요 글로벌 반도체 기업과 거래하고 있으나, 해외사업 비중은 약 30% 수준에 이르고 있다.
이 연구원은 "세계 최초로 기존 천연쿼츠의 수명 주기와 파티클 문제를 모두 개선한 합성쿼츠 QD9, QD9+를 개발해 반도체 업체들에 공급 중"이라며 "합성쿼츠는 마이크로 버블이 발생하지 않아파티클 감소로 수율이 증가하고, 수명 주기 또한 약 1500시간으로 천연쿼츠 1000시간 대비 길다는 장점이 있다"라고 밝혔다.
글로벌에픽 증권팀 박진현 기자 epic@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