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4일 기획재정부는 이런 내용의 9월 재정동향을 발표했다.
기재부에 따르면 올해 들어 7월까지 정부의 총수입은 353조4천억원으로 작년 같은 시점보다 40조7천억원 줄었다.
국세 수입이 43조4천억원 감소한 217조6천억원으로, 소득세(-12조7천억원), 법인세(-17조1천억원) 등이 국세 수입 감소에 큰 영향을 미쳤다.
세외수입은 17조4천억원으로 3조원 감소한 반면 기금수입은 118조3천억원으로 5조7천억원 증가했다.
정부의 총지출은 391조2천억원으로 59조1천억원 줄었다.
코로나19 위기 대응 사업의 축소, 소상공인 손실보전금 지급 종료 등으로 예산(-13조2천억원), 기금(-35조3천억원) 지출이 감소했다.
수입보다 지출이 더 늘어나며 총수입에서 총지출을 뺀 통합재정수지는 7월 말 기준 37조9000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다만 여전히 정부가 예상한 올해 연간 적자 전망치(-58조2천억원)를 웃돌았다.
7월 말 기준 국가채무(중앙정부 채무)는 1천97조8천억원으로 한달 전보다 14조5천억원 증가했다. 국가채무는 6월에 전월보다 감소했다가 다시 늘어났다. 올해 본예산 기준 전망치(1101조7000억원)보다 3조9000억원 부족한 수치다.
8월 외국인의 국고채 순투자 규모는 4조원으로 5개월 연속 자금이 유입됐다. 외국인의 국고채 보유 잔액은 8월말 기준 214조9천억원이었다.
이성수 글로벌에픽 기자 mktcube01@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