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고 금속활자본 '직지심체요절(직지)'[사진=연합뉴스]](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3041109234108801a2b977df5014522121.jpg&nmt=29)
11일 학계에 따르면 프랑스 파리에 있는 프랑스국립도서관은 12일(현지시간)부터 오는 7월 16일까지 열리는 '인쇄하다! 구텐베르크의 유럽' 전시에서 직지를 일반에게 선보인다.
일반 관람객에 실물을 공개하는 건 1973년 같은 도서관에서 열린 '동양의 보물' 전시 이후 처음이다.
직지의 정확한 명칭은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
승려인 백운 경한(1298∼1374) 스님이 역대 여러 부처와 고승의 대화, 편지 등에서 중요한 내용을 뽑아 편찬한 책으로 고려 우왕 3년(1377)에 충북 청주 흥덕사에서 금속활자로 간행됐다.
세계 인쇄사에서 중요한 위상을 차지하는 구텐베르크 성서(1455년)보다 무려 78년 앞선 인쇄본이다.
직지는 상·하 2권으로 간행된 것으로 추정되나, 현재 상권은 전하지 않고 하권만 프랑스에 남아있다.
구한말 외교관을 지낸 프랑스인 콜랭 드 플랑시(1853∼1922)가 1880년대 말에서 1890년대 초 국내에서 수집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후 경매를 거쳐 1950년 프랑스국립도서관에 기증됐다.
직지의 가치와 의미를 알리려는 행사도 현지에서 함께 열린다.
국외소재문화재재단과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주프랑스 한국문화원은 13일 문화원 오디토리움에서 직지의 편찬 배경과 한국 불교의 인쇄 문화유산을 살펴보는 콘퍼런스를 연다.
현재까지 알려진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목판 인쇄물인 '무구정광대다라니경'(無垢淨光大陀羅尼經),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인 '해인사 대장경판 및 제경판' 등도 소개된다.
학계에서는 이번 전시가 우리 금속 인쇄술의 우수성을 알릴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이종균 글로벌에픽 기자 epic@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